韓조선, 새해 첫달 선박발주 33% 수주… 중국은

최유빈 기자 2023. 2. 7. 16: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새해 선박 발주가 줄어든 가운데 수주 경쟁에서 중국이 한국을 앞질렀다.

7일 영국의 조선·해운 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달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196만 CGT(표준선환산톤수)로 총 72척이다.

수주량은 112만 CGT이며 선박 수로는 40척에 달한다.

지난달 말 기준 전 세계 수주잔량은 전월 대비 77만 CGT 감소한 1억913만 CGT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해 1월 국가별 선박 점유율은 중국이 57%로 1위를 차지했다. 사진은 삼성중공업이 건조한 LNG운반선. /사진=삼성중공업
새해 선박 발주가 줄어든 가운데 수주 경쟁에서 중국이 한국을 앞질렀다.

7일 영국의 조선·해운 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달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196만 CGT(표준선환산톤수)로 총 72척이다. 전월 대비 22%, 전년 동기 대비 63% 감소했다.

올해 1월 국가별 선박 점유율은 중국이 57%로 1위에 올랐다. 수주량은 112만 CGT이며 선박 수로는 40척에 달한다. 한국은 12척에 해당하는 64만 CGT로 33%를 차지하며 2위에 머물렀다.

수주잔량도 중국이 한국을 앞섰다. 수주잔량은 조선사가 계약을 체결하고 아직 선주에게 인도하지 않은 물량이다. 수주잔량이 많을수록 조선사의 일감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달 말 기준 전 세계 수주잔량은 전월 대비 77만 CGT 감소한 1억913만 CGT였다. 그중 중국이 4919만 CGT(45%), 한국이 3758만 CGT(34%)를 차지했다.

새롭게 건조하는 선박 가격을 의미하는 '신조선가'는 162.51포인트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달 대비 8.25% 상승한 수치로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선종별로 보면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은 2억4800만달러, 초대형 유조선이 1억2000만달러, 초대형 컨테이선이 2억1500만달러를 기록했다.

최유빈 기자 langsam41@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