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에 탄 '구룡마을' 100% 공공재개발… 3600가구 짓는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시가 강남의 무허가 판자촌 '구룡마을'을 100% 공공재개발로 추진한다.
시는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 개발 계획을 정하고 본격적인 사업에 돌입한다고 7일 밝혔다.
지난달 구룡마을에서 화재가 발생한 가운데 오세훈 서울시장은 현장을 찾아 "진행되는 재개발 사업이 빨리 되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 밝혔다.
시는 2020년 6월 임대 1107가구, 분양 1731가구 등 2838가구를 짓는 구룡마을 사업계획을 고시한 바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는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 개발 계획을 정하고 본격적인 사업에 돌입한다고 7일 밝혔다. 지난달 구룡마을에서 화재가 발생한 가운데 오세훈 서울시장은 현장을 찾아 "진행되는 재개발 사업이 빨리 되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 밝혔다.
구룡마을은 서울 마지막 판자촌으로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정부가 도심 내 무허가 건물을 철거하자 쫓겨난 철거민들이 터를 잡은 동네다. 2011년부터 정비사업 방안이 논의됐지만 부지 활용 방안과 보상 방식 등을 두고 땅 주인과 지자체 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관련 사업이 오랜 기간 정체됐다.
서울시는 용적률 상향을 통해 공급 규모를 당초 계획한 2800여 가구에서 3600가구로 늘리고 건물 최고 높이는 35층을 예상하고 있다. 시는 2020년 6월 임대 1107가구, 분양 1731가구 등 2838가구를 짓는 구룡마을 사업계획을 고시한 바 있다.
시행사인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는 조만간 공고를 내고 토지 보상 절차에 돌입할 것으로 알려졌다. 감정평가에 따른 공시가격 기준으로 보상 절차를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물량 일부에는 '토지임대부' 주택도 포함될 전망이다. 토지임대부 방식은 토지는 SH공사가 소유하고 건물만 분양하는 방식이다.
신유진 기자 yujinS@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나만 그런 게 아니었다"… '설사·구토' 육회, 상품 vs 배송 문제? - 머니S
- "진짜 강사인 줄"… 정경호, 남다른 연기 열정 '대단' - 머니S
- "1일 숙박료만 900만원"… 제시카, 파리 호텔서 럭셔리 FLEX - 머니S
- 롯데월드, 자유이용권 60% 할인해주고도 비난… 이유는? - 머니S
- 이유영 측 "비연예인 남성과 열애중"… 침대 위 행복한 미소 - 머니S
- 직장인들에겐 최고의 복지 '주4일제'… 고민하는 기업들 - 머니S
- [르포] 댕댕이도 펫팸족도 뒤엉켰다… 북새통 마이펫페어 괜찮나 - 머니S
- 이수혁, 일면식도 없는 팬에 70만원대 선물한 사연… 무슨 일? - 머니S
- "꼬우면 직접 와"… 공군병사, 생활관 음주·공포탄 사진 올려 '뭇매' - 머니S
- "박재범, 벌거벗고 노래하는 것도"… 양희은 고백 '헉' - 머니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