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에 가도 못 살린다니...저출산 대한민국, 소아 사망자 늘어난다

심희진 기자(edge@mk.co.kr) 2023. 2. 7. 13:5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삼성서울, 국내사례 543만건 분석
6년간 CPR 실시 30% 감소에도
사망률은 매년 6.6%씩 상승
소아전담 의료자원 부족 영향

병원에서 심폐소생술(CPR)을 받은 소아청소년 중환자의 사망률이 해마다 상승하고 있다. 선진국과 달리 한국에서만 발생한 특이 현상이다.

특히 소아청소년 중환자실을 운영하지 않는 병원일수록 사망률이 더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최근 의료진 부족으로 병원들이 소아 전담 응급실과 중환자실 운영을 축소 혹은 중단하고 있어 필수의료 붕괴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7일 의료계에 따르면 삼성서울병원 조중범 중환자의학과 교수와 손명희 소아청소년과 교수 공동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 데이터를 이용해 2012∼2018년 소아청소년 환자의 입원 사례 542만9471건을 분석했다. 그 결과 CPR을 시행한 소아청소년 중환자의 사망률이 매년 늘고 있다는 점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심장협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최근호에 실렸다.

연구팀에 따르면 조사기간 중 CPR 시행 건수는 2012년 550건에서 2018년 381건으로 줄었다. 연구팀은 출생률이 떨어지면서 소아 중환자도 감소한 것으로 해석했다. 하지만 이와 반대로 CPR 사망률은 2012년 47.5%에서 2018년 54.9%로 상승했다. 의료기술 발전과 더불어 CPR을 시행한 소아청소년 환자 수가 줄었음에도 사망률은 오히려 높아진 셈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CPR 사망률은 조사기간 중 매년 6.6%씩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같은 결과는 해외 추세와도 크게 다르다는 게 연구팀 설명이다. 미국의 경우 2009∼2017년 소아청소년 환자의 CPR 발생 건수가 늘었음에도 사망률은 이전과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앞서 2000∼2009년 미국 소아청소년 환자의 CPR 사망률은 대폭 감소한 바 있다. 이에 연구팀은 소아청소년 환자의 CPR 사망률 증가가 우리나라만의 특수한 상황인 것으로 보고 있다. 중환자실과 필수 의료진 부족 등에서 비롯된 구조적 문제가 영향을 끼친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특히 국내 소아청소년 중환자의 CPR 사망률 증가 추세는 소아중환자실과 전담 인력이 없는 병원에서 더욱 뚜렷히 나타났다. CPR 발생률은 소아중환자실을 운영하는 병원이 높았지만, CPR 사망률은 소아중환자실이 없는 병원이 54.8%로 소아중환자실을 운영하는 병원(45.1%)을 넘어섰다.

연구팀 관계자는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의 경우 90% 이상의 중증 소아가 소아중환자실에 입원하는 반면 국내에서는 50% 이상의 중증 소아가 성인 중환자실에 입원하는 게 현실”이라며 “최근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지원 미달 사태 등으로 소아 중환자를 돌볼 의료진이 없거나 모자란 탓에 이런 상황은 더욱 악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257개의 소아중환자실이 있는 미국과 달리 한국에서는 11개 병원만이 소아중환자실을 운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팀 관계자는 “저출산 시대에는 아이 한 명의 생명이 더욱 귀할 수밖에 없다”며 “지금처럼 해서는 살릴 수 있는 아이도 잃게 될 우려가 큰 만큼 병원 내 소아청소년 환자 관련 시설, 인력 등의 구조적 개선과 함께 정부의 과감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