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재해 막는 LGU+, 스마트 안전장구 보급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LG유플러스는 산업안전 솔루션 사업 강화에 나선다고 7일 밝혔다.
LG유플러스는 현대엘리베이터와 지난해 1월부터 스마트 안전장구를 공동 개발해 왔다.
LG유플러스는 안전벨트 센서에 작업모드(고소·일반)를 변경할 수 있는 버튼과 이를 확인할 수 있는 LED 화면을 추가해 편의성을 높였다.
전승훈 LG유플러스 스마트인프라사업담당은 "다양한 산업에서 스마트 안전장구를 도입할 수 있도록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중대재해 예방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겠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LG유플러스는 산업안전 솔루션 사업 강화에 나선다고 7일 밝혔다. LG유플러스는 현대엘리베이터와 지난해 1월부터 스마트 안전장구를 공동 개발해 왔다. 안전장구는 IoT(사물인터넷) 센서 3종(안전모·안전고리·안전벨트)과 비콘 센서, 작업자 전용 앱, 관제 플랫폼으로 구성된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지난해 10월 자사의 설치 근로자 전원에게 안전장구를 보급했다.
LG유플러스는 안전벨트 센서에 작업모드(고소·일반)를 변경할 수 있는 버튼과 이를 확인할 수 있는 LED 화면을 추가해 편의성을 높였다. 장갑을 끼고 작업을 하던 중 전용 앱을 실행해 작업모드를 바꾸기가 번거롭다는 근로자들의 의견을 반영한 결과다. 또 얼굴형에 따라 안전모의 착용감이 이질적이라는 의견을 수렴해 턱끈 센서의 사이즈를 축소하고 센서의 위치를 얼굴 밑이나 측면 중 선택할 수 있도록 재설계했다.
또 어떠한 연령대의 설치 근로자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작업자 전용 앱을 사용자 친화적인 UI·UX로 개편했다. 작업자 사용 가이드 영상, 대고객용 사용자 매뉴얼 등도 추가 제작했다. LG유플러스는 고소 작업이 필요한 구조물 관리 현장, 자동화 로봇 설비 현장, 버킷 차량 작업 현장 등이 있는 고객사와 계약을 논의 중이다.
전승훈 LG유플러스 스마트인프라사업담당은 "다양한 산업에서 스마트 안전장구를 도입할 수 있도록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중대재해 예방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겠다"고 말했다. 김나인기자 silkni@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싸움 말린다고…교실서 친구 흉기로 수차례 찌른 중학생
- 김빈 “조국 딸 조민, 놀랍고 대견”…전여옥 “어쩜 저렇게 ‘파렴치’ 쩔었는지”
- 심상찮은 조국 딸 조민 인스타그램…‘김어준 방송’ 출연 하루 만 팔로워 ‘7배 폭증’
- “난 떳떳하다” 조국 딸 조민, 인스타그램 폭발적 반응…20일 만 2만 팔로워 ‘훌쩍’
- 침묵 깬 조국 딸 조민, 김어준 방송서 작심 발언 “저도 ‘정치적 의견’ 있지만…”
- 여 "대통령 망신주기 목적" 야 "법치실현 첫 걸음"
- "한달 20GB 써도 1만원대라고?"… 5G 알뜰폰 요금제 나온다
- 삼성 가세로 뜨거워진 가전 구독시장… LG, 라인업 확대로 맞불
- 청년 `인생 첫 전기차` 20% 보조…급속충전기 4400대 증설
- 탄핵정국에 투자도 겁나… 기업대출 8년만에 최대 폭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