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튀르키예 강진 사망자 4천명 육박…날씨까지 악재
<출연 : 정태웅 세종대 지구자원시스템공학과 교수·박재성 숭실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튀르키예 동남부에서 잇따라 발생한 강진으로 튀르키예와 인접 국가인 시리아에서 3천6백 명 넘게 숨졌습니다.
84년 전 튀르키예 역사상 최악의 지진과 동일한 규모의 강력한 지진으로 앞으로 사상자는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두 차례 강진 발생 후 여진도 80차례 가까이 이어지며 여진에 대한 공포도 계속되고 있는데요.
이번 튀르키예 강진과 관련해, 정태웅 세종대 지구자원시스템공학과 교수, 박재성 숭실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와 함께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질문 1> 튀르키예 동남부 지역에서 7.8, 7.5 규모의 지진이 연쇄적으로 일어났는데요. 먼저, 이곳에서 지진이 일어난 원인은 어떻게 분석하고 계신가요?
<질문 1-1> 튀르키예가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이라고 하셨는데, 7.5 이상이면 대형 지진에 속하는데, 그동안 7 이상의 강진도 이곳에서 자주 일어났었나요?
<질문 2> 지진의 피해도 심각합니다. 인접국 시리아까지 포함하면 사망자만 최소 3천 6백명이 넘고 부상자도 1만 명이 넘는다고 하는데요. 지진 규모에 비해 피해가 큰 편인가요?
<질문 2-1> 지진이 난 시간이 새벽이었고, 눈·비까지 내리고 있었다고 하는데요. 보통 새벽에 지진이 발생하면 피해가 더 커지지 않나요?
<질문 3> 지진이 발생한 위치도 중요할 것 같은데요. 이번에 발생한 지진이 튀르키예 남부도시 내륙 지역 지하에서 일어났다고 합니다. 내륙과 해양의 지진 피해 크기가 다른가요? 또 진원 깊이도 중요한가요?
<질문 4> 이번 지진이 7.8 규모의 강진이었는데요. 이 정도면 사람들이 느끼기에 어느 정도의 충격이라고 보면 될까요?
<질문 4-1> 오래된 고성도 무너졌다고 하던데, 진도 7.8이면 사람이 느끼는 강도나 건물의 피해 정도는 어느 정도 되나요?
<질문 5> 7.8, 7.5 규모의 두 번의 지진이 발생하고 80여 차례의 여진이 계속 발생하고 있는데요. 원래 강진이 일어나고 난 후에는 여진이 이렇게나 많이 일어나나요? 여진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지도 궁금합니다.
<질문 6> 지진하면 아시아에서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이 가장 먼저 떠오르는데요. 동일본 대지진과 비교해 봤을 때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질문 7> 우리나라도 최근 몇 년 사이 실제로 느껴지는 지진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데요. 올해도 강화도 서쪽 해역에서 3.7 규모의 지진이 일어났는데, 수도권에서까지 진동을 느낀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우리나라도 더 이상 지진으로부터 안전지대라고 볼 수는 없는 건가요? 어떤 이유 때문인가요?
<질문 8> 우리나라도 이제 더 이상 지진으로부터 안전지대가 아니라면, 내진설계라든가 준비를 해야 할 것 같은데, 지진이 났을 때 대처요령을 좀 알려주시죠.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네이버에서 연합뉴스TV를 구독하세요
연합뉴스TV 생방송 만나보기
균형있는 뉴스, 연합뉴스TV 앱 다운받기
저작권자(c)연합뉴스TV.무단전재-재배포금지
- [배달잇슈] "엄마는 샤넬, 딸은 디올"…백두혈통의 명품 사랑
- 갑자기 바다로 돌진한 SUV…부부는 숨지고 딸은 살고
- '인천 아동학대 사망' 공소장…'태아유산 원망 탓'
- 떠돌이 개에 화살 쏜 40대 검거…"내 닭에 피해" 변명
- [단독] 김포FC 유소년 피해자 또 있었다…"2차 가해 두려워"
- '당헌 80조 예외적용' 진통…비이재명계, 절차 문제제기
- 고교 기숙사서 집단폭행…"들키지 않는 게 임무"
- 검·경, JMS 수사 속도…금산 수련원 등 압수수색
- 새 중간요금제 나왔는데…데이터 단가 최고 16배 격차
- 콜롬비아와 데뷔전 앞둔 클린스만 감독 "전술보단 선수 파악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