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머니] 대세는 AI·로봇, 테마 골라잡는 ETF?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재테크 노하우 100분 머니쇼 '하우머니' - 박수민 신한자산운용 ETF운용센터
Q. 부장님, 1월 증시가 예상외로 너무 좋았거든요. 2월 들어서는 좀 주춤하겠지 했는데, 지금까지는 분위기 좋은 것 같습니다. 최근 증시 동향부터 짚고 본격적인 이야기 시작해볼까요?
- 연초 증시 분위기 흐름, 진단과 평가는?
- 1월 코스피 8.4%, 코스닥 9% 상승률 기록
- 1월 ‘토끼 랠리’…2월도 이어간다?
- "상승세 지속" vs "단기 조정 가능성"
Q. 1월 랠리의 주역은 사실 외국인들이죠. 그런데 1월에 사다 말겠지 했는데, 2월 들어서도 계속되는 느낌이에요. 지금까지 7조 원어치 넘게 샀는데, 왜 이렇게까지 사는 건지, 이러다 갑자기 또 팔고 떠나는 거 아닌지도 걱정스럽거든요?
- 지난달 외국인 순매수 역대 3위…왜 우리 주식 살까?
- 새해 들어 외국인이 순매도를 기록한 건 단 2거래일
- 지난달엔 6조 4,800억 원어치를 순매수
- 미국 연준, 올해 안에 금리를 내릴 수도 있다는 기대감
- 중국의 경제활동 본격적인 재개로 국내 수혜
- 돌아온 외국인...2월에도 매수세 이어질까?
- 원·달러 환율 내림세로 외국인 투자자에 유리한 환경
- 신흥국 내에서도 국내증시 매력도 상대적 우위
- 환율 추가 하락 안정 시 외국인 순매수 지속 가능성
- 주식 시장의 특성상 여러 기대와 전망이 미리 반영
Q. 외국인들도 이렇게 들어오고, 작년부터 국내 ETF 판이 커지고 있다고 하셨거든요. 올해 들어서도 여러 ETF들이 신규 상장했다고 들었는데, 어떤 것들이 있는지 궁금한데요?
- 판 커진 시장, 올해 신규 상장 ETF는?
- 현재까지 8개의 ETF가 신규 상장, 현재 674개 ETF로 확대
- 주식형 테마, 채권, 액티브 등 다양한 상품이 상장되고 있음
[2023년 신규 상장 ETF]
Q. 반도체와 채권 사이에서 눈에 띄는 게 코스닥150, 요즘 코스피랑 코스닥 같이 가는 듯하다가도 따로 가고, 물론 단순 비교할 건 아니지만 나스닥 날아가는데 코스닥은 부진한 편이거든요. 이 시점에 코스닥 ETF 나온 이유가 있습니까?
- 코스닥, 코스피 앞설 수 있을까?
- 형은 날고 아우는 뛰고…코스피와 코스닥
- 올해 1월 코스피·코스닥 상승률 2년 최고
- 코스피·코스닥·코넥스는 '시가총액'으로 지수 산출
- 신한운용, 'SOL 코스닥150 ETF' 신규상장
- 코스닥150, 산업군·시가총액·유동성 고려해 선정한 150종목
- IT 하드웨어 23.5%·헬스케어 17.7%·IT소프트웨어 8.9%
- 유동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종목의 비중을 결정
- 코스닥, 바이오·2차전지·미디어&엔터 등 성장성 기대
Q. 부장님, 연초부터 테마주가 난리도 아니죠. 올해 유난히 주목받는 것들이 있는데, 특히 로봇주들이 난리였거든요. 100% 넘게 급등한 종목도 나올 정도였으니까 ETF 시장에도 영향이 있었겠습니다?
- 연초 달군 테마주, ETF 시장 영향은?
- 국내 로봇 관련 기업들의 성과 호조
- 미국 상장 대형 테크 기업들의 본격적인 반등의 시작
- 반도체, 플랫폼, 전기차 관련주 또한 성과 호조 기록
- 로봇주 골라 담은 ETF 잘 나가네?
- 로봇주 올해 들어 2~3배 급등
- 삼전도 투자한 로봇 테마...ETF 수익률1위
Q. ETF는 편입종목이 관건인데, 갑자기 테마로 묶이면서 관련이 없는 회사들이 껴있는 경우도 종종 있으니까요. 로봇 관련주들 옥석가리기도 필요할 것 같거든요?
- 삼성이 불 붙인 로봇주, 옥석 가리기 전략은?
- 로봇株 무더기 급등…믿어도 되나?
- 삼성전자의 레인보우로보틱스 투자를 기점으로 강세
- 국내 상장 로봇 기업에 대한 투자 심리가 빠르게 강화
- 레인보우로보틱스, 에스피지, 로보티즈 등 시장성과 압도
- 과거 아시아 국가 위주의 산업용 로봇 수요
- 현재는 공급망 재편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미국 추가
- 대미 산업용 로봇 수출로 한국 기업 관심 증가
[대표적인 로봇 관련 기업들]
Q. 문제는 이런 것들이 ‘테마’라는 건데, 이게 한마디로 지금 유행하는 것들이잖아요. 그럼 곧 시들해질 수 있는 거 아닌가요? 중장기적 투자로도 괜찮겠습니까?
- 빠른 순환매에 아찔한 테마주…대응전략은?
- SOL KEDI메가테크액티브, 5개 기술 테마에 투자
- 매년 6월과 12월 가장 유망한 테마 선정
- 시장 상황에 따라 투자하는 테마가 달라져
- ‘로테이션 ETF’ ‘변신 ETF’라는 별칭
- 운용자산의 약 30%는 펀드매니저가 직접 매매
Q. 이런 테마주 외에, 좀 장기적으로 봤을 때 앞으로 우리 증시의 운명은 중국 경기회복세에 달렸다는 이야기도 나와요. 부장님께서도 중국을 유의 깊게 봐야 한다고 하셨는데, 어떤 점들을 주목해보면 좋을까요?
- 지금 중국 시장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
- 제로 코로나 정책 완화 → 리오프닝 본격화
- 정치적/정책적인 측면 → 친시장 정책
- 중국 춘제를 기점으로 소비 심리가 회복
- 4월까지 리오프닝 관련주들의 수혜가 예상
- 3월 열릴 양회 앞두고 경제부양 정책 발표 기대감
Q.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중국증시에도 외국인 매수세가 몰리고 있다고 들었어요. 사실 코스피는 지금 선행 PER 12배를 넘어서서 밸류 부담이 좀 커졌거든요? 중국증시는 지금 투자할만한 매력이 있는 구간입니까?
- 중학개미의 시간 오나, 中 증시 투자 전략은?
- 1월에만 26조원…中증시서 '역대 최대' 사들이는 외국인들
- 코스피 12개월 선행 PER, 12.8배…10년 평균 10.6배 넘어
- “중국 관련 ETF, 지수마다의 성격을 잘 알고 투자해야”
- FTSE CHINA A50, 중국본토 A주 중 대표 50종목 투자
- ‘시진핑 지수’ 라고 불리는 과창판 지수, ‘중국판 나스닥’
- 중소형 스타트업 기업들이 많은 창업판 지수
- CSI300, 상하이와 선전 대형주로 구성된 지수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SBS Biz 기자들의 명료하게 정리한 경제 기사 [뉴스'까'페]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넷플릭스, 칠레서 계정공유 단속했더니…
- '결제서비스 중단' 페이코인 상장폐지 여부 3월 말까지 연기
- 애플, 더 비싼 아이폰 내나...'울트라' 모델 검토
- "경기 후퇴는 없다" 재닛옐런·서머스 잇따른 美 경제 낙관론 - SBS Biz
- [조간브리핑] 韓 수입차 판매량 日보다 4만대 ↑…럭셔리카도 추월했다
- 실내마스크 해제되자 간편식↑·마스크↓
- 월세 27만원인데 관리비가 105만원?…전국 430만가구 '깜깜이 관리비'
- 카카오페이 작년 455억원 영업손실…매출은 13.7% 증가
- 튀르키예 지진 사망 3천672명…리라화 한때 사상 최저치
- 중국·호주 4년 만에 무역 회담…수입 금지 제품 추가로 풀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