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병→군사경찰'… 軍, 전방 경계작전용 완장 교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전방 경계부대 장병들이 경계작전시 착용하는 완장에 새겨진 글자가 기존 '헌병'에서 '군사경찰'로 변경됐다.
7일 군 당국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전방에서 경계작전을 펼치는 예하 부대 장병들은 '군사경찰'이 새겨진 새 완장을 차고 임무를 수행 중이다.
그동안 장병들은 한글 '헌병'과 영문 'MP'가 적힌 완장을 착용했으나, 새 완장에선 한글 표기가 '군사경찰'로 바뀌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스1) 박응진 기자 = 최전방 경계부대 장병들이 경계작전시 착용하는 완장에 새겨진 글자가 기존 '헌병'에서 '군사경찰'로 변경됐다. 2020년 5월 병과명이 바뀐 데 따른 후속 조치다.
7일 군 당국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전방에서 경계작전을 펼치는 예하 부대 장병들은 '군사경찰'이 새겨진 새 완장을 차고 임무를 수행 중이다.
그동안 장병들은 한글 '헌병'과 영문 'MP'가 적힌 완장을 착용했으나, 새 완장에선 한글 표기가 '군사경찰'로 바뀌었다. 글꼴 굵기는 전보다 가늘어졌고, 글자 위 태극기 색상은 무채색으로 디자인됐다. 다만 군사경찰의 영문 약자인 'MP'(Military Police) 표기는 유지됐다.
국방부는 앞서 '헌병'의 의미가 수사에 한정돼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병과의 정체성을 정확히 표현하지 못한다는 판단에 따라 '군사경찰'로 병과명을 바꿨다.
그러나 최전방에선 여전히 '헌병'이 적힌 완장이 사용돼 육군은 작년 말부터 완장 교체 실무 작업에 돌입, 이달부터 각 부대가 새 완장을 착용하도록 했다.
pej86@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내 얼굴에 침 뱉은 의붓아들 때문에 만난 남편 전처…절친됐다"
- "사이비 종교 예비 시댁…시모 '교회 같이 안 가면 죽겠다' 협박"[이 결혼 OX]
- "5~6년 만난 내 첫사랑, 나 피하지마"…김새론, 김수현에 부치지 못한 편지
- 사실혼 남편 죽자 전처 자식들 "집 나가라"…"10년 간병했는데, 억울"
- 휴대전화 화면 가득 '알몸 여성'…지하철서 당당히 음란물 본 20대男[영상]
- 故설리 친오빠, 베드신·나체신 강요? 김수현·이사랑에 '리얼' 관련 입장 요구
- 태진아 "아내 치매 진행 멈춰, '여보' 소리 듣고 울었다"
- "코요태 셋이 고작 3천만원?"…빽가, 산불 피해 기부액 악플에 상처
- BTS 정국, 10억원 기부 "산불 피해 복구에 작은 도움 되길"
- 불낸 집주인, 엘베 못 쓰는데 사과도 없이 "앵무새 찾아요" 전단 '공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