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하철 무임승차 65세, 더 늦기 전에 수술 착수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현재 65세인 지하철 무임승차 및 노인 연령 기준을 둘러싼 논란이 커지고 있다.
서울시와 기획재정부는 지하철 무임승차에 따른 적자 보전 문제를 놓고 연일 책임 공방을 벌이고 있다.
미래 세대의 부담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복지 체제를 만들려면 무임승차 연령 등 복지 제도 전반에 대한 개혁에 착수해야 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재 65세인 지하철 무임승차 및 노인 연령 기준을 둘러싼 논란이 커지고 있다. 서울시가 65세 이상 시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72.6세가 넘어야 노인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와 기획재정부는 지하철 무임승차에 따른 적자 보전 문제를 놓고 연일 책임 공방을 벌이고 있다. 서울시는 “중앙정부에서 무임승차에 따른 손실을 보전해달라”고 요구하고 있지만 기재부는 국비 지원이 어렵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급기야 대구시는 6월 말부터 도시철도 무임승차 연령을 65세에서 70세로 높이는 방안을 제시했다.
지하철 무임승차가 도마 위에 오른 것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재정 부담 때문이다. 서울시 등 광역 자치단체들은 최근 5년 동안 전국 도시철도의 연평균 순손실 1조 3165억 원 가운데 무임승차에 따른 손실이 5411억 원으로 41%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전국 도시철도의 누적 적자가 약 24조 원에 달해 더는 감내하기 어렵다는 얘기다. 급속한 고령화 현상은 자치단체의 재정 악화를 부채질하고 있다. 무임승차 제도가 처음 만들어진 1984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5.9%에 불과했다. 하지만 지난해 말 18.0%로 3배 이상 높아졌고 2030년에는 3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지속 가능한 대중교통 시스템을 유지하려면 정부와 지자체가 더 늦기 전에 40년 가까이 유지된 무임승차 제도를 수술해야 한다. 노인 취약층의 이동권 보장도 고려해 무임승차 연령을 단계적으로 높이거나 혼잡한 출퇴근 시간에만 유료화하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다. 소득 수준에 따라 할인 폭을 차등화하는 방안도 있다. 노인 연령 기준 상향 조정도 정년 연장, 연금 개혁 등과 함께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호봉제 위주의 급여 체계를 직무·성과급제로 바꾸고 노동시장 유연성 확대도 서둘러야 한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사회적 충격을 줄이기 위해 2025년부터 10년에 한 살씩 노인 연령을 높이는 방안을 제안했다. 미래 세대의 부담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복지 체제를 만들려면 무임승차 연령 등 복지 제도 전반에 대한 개혁에 착수해야 한다.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NS 오셔도 된다'던 조민, 인스타 팔로워 확 늘었다
- '이수만 없는 SM'…김민종 반발했지만 주가는 환호했다
- 갤워치 주고 용량 2배…갤S23 사전예약 '성지'는 어디
- 생애 첫 복권이 1등 당첨…18세 여대생 '448억 잭팟'
- '1000만원 차액 보상하라' 폭스바겐 차주들 강남 몰려간 이유
- 사망선고 받고 장례식장 옮겨진 여성…숨 쉬고 있었다
- 땅은 하난데 주인이 4000명? 기획부동산 피하려면 [근면한 월급]
- 미스 러시아 호소…'호텔까지 노출, 우크라인들에 협박 당해'
- 30년간 '1만명 몰카'에 열도 발칵…의사·공무원도 찍었다
- '버니즈가 호구냐'…완판 '뉴진스 그램' 수백만원 웃돈 '되팔이'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