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투자청 지난해 3600억 투자 유치...3배 증가

권오균 기자(592kwon@mk.co.kr) 2023. 2. 6. 14:4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 기업유치, 중동 네트워크 강화
런던, 보스턴 등과 핀테크 파트너십도
서울투자청은 작년 11월 싱가포르 핀테크 페스티벌 참가해 서울투자청 부스를 운영했다. [자료 = 서울시]
서울시는 출범 1년을 맞은 ‘서울투자청(Invest Seoul)’이 공격적인 투자유치 활동으로 2022년에 3613억원의 투자유치에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 이는 2021년 투자유치 금액인 1123억원보다 3배 이상 증가한 규모다. 세계 경기 침체 속에서도 글로벌 투자자와 유망기업을 연결하는 ‘투자플랫폼’의 기능을 강화하고, 중동, 아시아 등 대륙별 맞춤형 유치전을 진행한 결과다.

올해는 코로나 이후 본격적인 현장 투자유치 활동이 가능해진 만큼 연중 공격적인 대규모 투자유치전을 진행한다. 우수한 기업을 서울로 유치하기 위해 홍콩, 싱가포르 등 아시아 중심 투자유치 활동에 집중하고, 런던·보스턴 등 글로벌 도시와 파트너십을 강화한다. 중동의 투자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세계 시장 경쟁력을 가진 코어(CORE)100 기업을 발굴해 해외 투자자본 유치도 확대할 예정이다.

먼저, 아시아 소재 금융기관 유치를 위해 금융기관 테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고, 서울의 매력과 장점을 홍보하는 로드쇼 등을 진행한다. 올해 1월, 홍콩에서 열린 아시아 금융 포럼(Asian Financial Forum)을 필두로 홍콩 및 싱가포르 대상 아시아 금융기관 유치에 주력한다.

글로벌 도시와 연계한 파트너십 강화에도 집중한다. 핀테크, 바이오, 콘텐츠, 인공지능(AI) 등 서울의 신산업 육성을 위해 런던, 보스턴 등 산업별 클러스터와 연계한 세계적 기업 유치에 집중한다. 시는 핀테크(런던), 바이오(보스턴) 등 산업별 관계기관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현지 투자유치 설명회를 개최하여 해당 지역이 보유 중인 네트워크를 흡수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 국부펀드 및 정부 기관과의 협력관계를 구축한다. 서울의 게임·콘텐츠 산업 등에 관심이 높은 중동 투자자가 원하는 혁신기업, 유망기업에 대한 맞춤정보 제공을 강화하고, 우리 기업과의 접점을 확대하는 등 중동 자본을 서울로 유치하기 위한 전방위 활동에 나선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해 지난 3년간 주춤했던 오프라인 투자유치 활동을 본격 재개했다. 미국 실리콘밸리 등 국내외 총 10회의 투자유치설명회(IR)를 개최해 330여 건의 투자자와 기업 매칭에도 성공했다. 작년 9월에 진행한 투자유치 활동을 통해 글로벌 액셀러레이터 플러그앤플레이가 국내 핀테크 스타트업에 올해 1월에 투자유치를 결정하는 등 투자유치활동의 결과가 실제 투자유치로 이어지고 있다.

서울투자청의 대표적 성과는 글로벌 기업 넷플릭스의 자회사 ‘아이라인 스튜디오’의 특수효과 영상 스튜디오를 서울로 유치한 사례다. 향후 5년간 1억 달러(약 1300억원) 외국인 투자와 최소 200명의 신규 인력 채용이 예상된다. 서울투자청 출범 이후 가장 큰 규모의 투자유치일 뿐 아니라, 채용연계형 교육사업을 통해 유망산업으로 손꼽히는 특수효과 영상 제작 분야의 전문인력 생태계 강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태균 서울시 경제정책실장은 “서울투자청은 날로 치열해지는 글로벌 투자유치 경쟁 속에서 서울이 글로벌 경제 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필수 기구”라며 “서울투자청의 공격적인 투자유치 활동이 실제 외국인 투자 자본과 글로벌 기업 유치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