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한국전기연구원, 증강현실용 스마트 콘택트렌즈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한국전기연구원(KERI)과 함께 초미세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증강현실(AR) 기반 내비게이션을 구현한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이에 공동연구팀은 전기 도금 대신 초미세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렌즈 디스플레이에 마이크로 패턴을 인쇄해 AR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울산=연합뉴스) 김용태 기자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한국전기연구원(KERI)과 함께 초미세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증강현실(AR) 기반 내비게이션을 구현한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개발에는 기계공학과 정임두 교수 연구팀과 한국전기연구원 스마트3D프린팅센터 설승권 박사 연구팀이 공동 참여했다.
지금까지 AR 기기들은 크고 무거울 뿐만 아니라 가격이 비싸 시장 진입이 힘들다는 한계가 있었다.
스마트 콘택트렌즈는 기술 난도가 높아 상용화까지 많은 난관이 있지만, 일반 렌즈처럼 자연스럽게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최근 구글 등에서 AR 구현 디스플레이 용도로 개발에 나서고 있다.
스마트 콘택트렌즈로 AR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낮은 전력으로도 구동이 가능한 전기변색 디스플레이가 적합한데, 소재로는 가격 경쟁력이 높고 색상 간 대비와 전환이 빠른 '프러시안 블루'가 주목받는다.
다만 기존 전기 도금 방식으로 소재를 기판에 필름 형태로 코팅해 사용하면 다양한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제작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에 공동연구팀은 전기 도금 대신 초미세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렌즈 디스플레이에 마이크로 패턴을 인쇄해 AR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평면뿐만 아니라 곡면에서도 패턴 형성이 가능하며, AR용 스마트 콘택트렌즈 디스플레이에 적용될 수 있는 수준으로 아주 미세하고 색상도 연속적이며 균일하다.
주요 기대 활용 분야는 내비게이션으로, 렌즈를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AR을 통해 눈앞에 내비게이션이 펼쳐지게 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정임두 교수는 "이번 성과가 AR 분야는 물론 프러시안 블루의 마이크로 패터닝이 필요한 배터리와 바이오센터 관련 기업들의 많은 관심을 받을 것"이라며 "관련 수요 업체를 발굴해 기술 이전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 1월호에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yongtae@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조국 딸 오피스텔 찾아간 기자 무죄…"정당한 취재활동"
- 넥스트 기타리스트 임창수, 베트남서 오토바이 사고로 사망
- '불법조업' 중국 어선 조타실에 최루탄 투척해 제압
- 37m 항타기 넘어지면서 인근 원룸 덮쳐…"주민 5명 이송"
- 부안 여행 온 30대, 해안절벽 아래로 추락해 숨져
- 서울 얼룩말과 다른 운명…대만 '탈출 원숭이' 죽자 시민들 공분
- 타인에 신체사진 보낸 초등생 딸 때린 아빠 체포
- 네이버 '지식인' 답변 스타…녹야(綠野) 조광현옹 별세
- 클린스만의 '미션 1호'는 '지쳐버린 괴물' 김민재 다독이기
- 교통경찰관들, 횡단보도 중간에 고립된 노인 그냥 지나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