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완규의한·미동맹사] 한·미동맹 70년, 새로운 70년의 첫 발걸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는 한·미동맹 70주년이 되는 해이다.
1953년 체결된 한미상호방위조약에서 비롯된 동맹 관계가 어느덧 고희(古稀)가 됐다.
한국과 미국은 동맹 관계로 얻을 수 있는 공동의 국가이익이 있었기에 70년의 관계를 존속해 왔다.
지난 한·미동맹 70년사를 돌아보면 양국 관계는 항상 원만했던 것만은 아니었으며, 때로는 동맹 관계가 위태롭던 순간도 적잖게 있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한·미동맹 70년사를 돌아보면 양국 관계는 항상 원만했던 것만은 아니었으며, 때로는 동맹 관계가 위태롭던 순간도 적잖게 있었다. 6·25전쟁 이후 1980년까지 30년간 미국은 자유민주주의 수호자이며 경제적 후원자로 한국인에게 인식됐다. 1980년대 후반 소련의 붕괴, 한국의 국력 신장, 남북관계의 변화, 민주주의의 제도적 정착 등으로 한국과 미국은 ‘피(彼)지원-지원 관계’에서 벗어나, 점차 상호 호혜적인 동등한 관계를 요구하며 한·미 관계를 새롭게 바라보기 시작했다. 지난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우리에게 6·25전쟁의 기억을 소환하며, 동맹의 가치와 중요성을 재인식하는 계기가 됐다. 2022년 5월 한·미 정상회담에서는 한·미가 대등한 입장에서 ‘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을 지향할 것을 천명했다.
오늘날 한·미동맹은 전례 없는 도전적 환경에 직면하고 있다. 북한은 지속해서 핵과 미사일 능력을 강화하고,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과 중국의 전략적 경쟁은 심화하고 있으며, 우크라이나 전쟁은 장기화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역사는 시간이라는 씨줄과 공간이라는 날줄로 짜인 직물과 같다. 필자는 앞으로 1년간 한·미동맹 70년 역사를 돌아보며, 독자들과 한·미동맹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다.
최완규 육사 외래교수·경제사회연구원 국방센터 위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연봉 2억2000만원, 사택에 휴가비까지?”…여기가 진짜 ‘넘사벽’ 직장입니다
- 김혜경 여사, ‘90도’ 인사하는데…‘李 선배님’ 권성동, 못 본 척?
- 박정민, 시력 잃은 父 위해 ‘오디오북’ 제작 “난 장애인의 아들이야”
- 생방 중 김혜경 여사 머리 밀친 카메라…대통령실 “각별한 주의 부탁”
- 이봉원, 사업 실패 → 7억 사채 빚...‘♥박미선’에게 이혼 당하지 않은 비법
- 불륜 스토리에 ‘미친X’ 분노...강다니엘, 녹화 도중에 욕설 → 사과
- “이러다 제주도 망한다”…한국인, ‘이곳’으로 몰려간 이유
- ‘탈모 논란’에 3,571모 심은 썸머퀸 “흑채 썼는데 물에 다 씻겨 나가”
- “진짜 오은영 맞아?”...바뀐 헤어스타일 ‘눈길’ → 민낯까지 최초 공개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