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외로 나간 巨野 "檢독재정권, 국민이 심판할 것"

이유정 2023. 2. 5. 18:3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회 다수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서울 한복판에서 윤석열 정권을 규탄하는 대규모 집회를 열었다.

민주당이 국회 밖에서 '장외투쟁'을 벌인 것은 2016~2017년 '박근혜 대통령 퇴진 촉구 운동' 이후 약 6년 만이다.

민주당이 장외집회에 첫발을 뗐지만, 재차 거리로 나설지는 불투명하다.

지도부는 이 대표가 전국을 돌며 진행 중인 '경청 투어 국민보고회'를 겸해 경기 지역에서 추가 장외집회를 열지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재명 "민생은 짓밟지 마라"
동원령에 의원 100여명 집결
'역풍 맞을라' 지속 여부는 고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4일 서울 세종대로 숭례문 앞에서 열린 ‘윤석열 정권 민생파탄·검사독재 규탄대회’에서 군중을 배경으로 피켓을 들어 보이고 있다. 뉴스1


국회 다수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서울 한복판에서 윤석열 정권을 규탄하는 대규모 집회를 열었다. 민주당이 국회 밖에서 ‘장외투쟁’을 벌인 것은 2016~2017년 ‘박근혜 대통령 퇴진 촉구 운동’ 이후 약 6년 만이다.

민주당은 지난 4일 서울 시청역 7번 출구 숭례문 방향 도로에서 ‘윤석열 정권 민생파탄·검사독재 규탄대회’를 개최했다. 이재명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를 포함해 현역 의원만 100여 명이 참석했다. 원외 지역장과 중앙당·지역위원회 당직자, 당원 등을 포함해 2만여 명이 모인 것으로 추산됐다.

무대에 선 지도부는 ‘민생파탄 못 살겠다’ ‘검사독재 규탄한다’ 등의 문구가 쓰인 팻말을 들고 흔들었다. 무대 밑에서는 지지자들이 “이재명을 지켜야 한다” “김건희를 특검하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

이 대표는 이날 20여분에 걸쳐 윤석열 정부의 외교·안보·경제 분야 정책과 검찰 수사를 비판하는 연설을 했다. 이 대표는 “윤석열 검사독재 정권에 경고한다. 이재명은 짓밟아도 민생을 짓밟지는 말라”며 “이명박·박근혜 정권이 갔던 길을 선택하지 말라. 국민의 처절한 심판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자신에 대한 검찰 수사를 겨냥한 듯 “정치 보복에 국가 역량을 낭비하는 바람에 대한민국 민주주의가 추락했다”며 “검찰이 국가 요직을 차지하고 군인의 총칼 대신 검사들의 영장이 국민을 위협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모든 것이 저의 부족함 때문이다. 전쟁(대선)에서 진 패장의 삼족을 멸하지 않는 것만으로도 다행으로 생각하라는 조언을 위로로 삼겠다”며 “국민의 피눈물과 고통에 비한다면 제가 겪는 어려움이 무슨 대수겠느냐. 역사적 소명을 뼈에 새기겠다”고 덧붙였다.

민주당이 장외집회에 첫발을 뗐지만, 재차 거리로 나설지는 불투명하다. “장외집회를 잇따라 열어 규탄 수위를 올려야 한다”는 강경파의 주장과 “원내 제1당으로서 장외투쟁 방식은 부적절하다”는 비이재명계의 우려가 공존하고 있어서다. 지도부는 이 대표가 전국을 돌며 진행 중인 ‘경청 투어 국민보고회’를 겸해 경기 지역에서 추가 장외집회를 열지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원내 관계자는 5일 통화에서 “민생파탄과 검찰 악행이 계속된다면 2차, 3차 집회도 열 수 있다”면서도 “아직 추가 장외집회 계획은 세우지 않았다”고 말했다. 반면 한 비명계 재선 의원은 “장외투쟁은 소수당이 국회 내 문제 해결 방법이 전혀 없을 때 하는 것”이라며 “이 대표를 위한 ‘국회 밖 무력 시위’로 비치면 중도층이 돌아설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