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경쟁률, 인서울 1.5배···'의치한약수' 편식 갈수록 심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윤석열 정부가 첨단 분야 인재양성을 위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가운데 교육계에서는 나날이 심화하는 의·약학계열 쏠림 현상을 해소하지 못할 경우 정부의 인재양성 구호가 '공염불'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단기적 관점의 땜질식 처방보다 중장기적 관점에서 이공계열 우수 인재들을 유인하고 안정적으로 육성할 수 있도록 인재 양성책을 재점검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부 교육이 국가 미래다 <2> 대학 '인구절벽' 직격탄 -인재양성 가속에도 이공계 경고등
SKY 중도탈락자 중 76%가 자연계
"50세쯤 퇴직···직업 안정성 불안 커"
장학금·병역면제 등 파격혜택 고려를
“우수 인재들이 안정적인 미래를 떠올릴 수 있는 곳이 의대밖에 없다는 게 씁쓸하죠. 당장 필요한 인재만 양성하면 된다는 임기응변식 정책이 아니라 다양성과 먼 미래를 내다보고 학생들에게 신뢰를 줄 수 있는 인재 양성책이 필요합니다.”(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명예교수)
윤석열 정부가 첨단 분야 인재양성을 위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가운데 교육계에서는 나날이 심화하는 의·약학계열 쏠림 현상을 해소하지 못할 경우 정부의 인재양성 구호가 ‘공염불’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단기적 관점의 땜질식 처방보다 중장기적 관점에서 이공계열 우수 인재들을 유인하고 안정적으로 육성할 수 있도록 인재 양성책을 재점검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달 1일 경북 구미 금오공대에서 열린 ‘제1차 인재양성전략 회의’에서 “4차 산업혁명과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 속에서 국가가 살아남는 길은 오로지 뛰어난 과학기술 인재들을 많이 길러내는 것”이라며 “국가의 미래가 바로 거기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정부는 첨단산업 인재양성에 사활을 거는 모습이지만 정작 이공계 교육 현장에서는 우려가 많다. 실제 좁은 국토와 부족한 자원에도 한국이 급속도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특유의 교육열을 바탕으로 한 우수 인재 배출 덕분이지만 지나친 교육열이 과도한 입시 경쟁을 유발했고 이는 곧 고교·대학 서열화와 공교육 부실, 사교육비 부담 증가라는 부작용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부작용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저성장 기조와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가 찾아오자 우수 인재들은 미래가 불확실한 이공계보다는 직업 안정성이 높은 분야로 몰리기 시작했다. 의대·치대·한의대·약대·수의대를 의미하는 이른바 ‘의치한약수’ 쏠림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다.
종로학원에 따르면 2023학년도 대입 정시에서 의·약학 계열 109개교의 평균 경쟁률은 8.03 대 1로 전년도의 9.16 대 1보다 다소 낮아졌지만 수험생 전체 정시 평균 경쟁률(4.65 대 1), 서울 소재 대학 경쟁률(5.81 대 1)보다 월등히 높다. 입학 단계뿐 아니라 입학 이후 의·약학 계열 도전을 위해 재수·반수를 하려는 ‘자퇴 행렬’도 줄을 잇고 있다. 지난해 공시된 2021학년도 SKY(서울·고려·연세대) 전체 중도 탈락자는 1874명이었다. 이 가운데 무려 1421명(75.8%)이 자연계열(자연과학·공학·의학 전공)이었다. 2019학년도에 893명이었던 자연계열 중도 탈락자는 2021년 1096명, 2022년 1421명으로 2년 만에 59.1%나 급증했다.
물론 과거보다는 이공계 기피 현상이 다소 완화됐지만 문제는 쏠림 현상이 지속될 경우 첨단 미래산업의 근간이 흔들리고 장기적으로는 국가 경쟁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뜩이나 글로벌 경쟁이 격화하면서 각국이 우수 인재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현상이 심화하고 있어 우려는 더욱 크다. 정작 수요가 없다면 증원이나 학사 제도 개편 등 정부의 다양한 시도도 허사가 될 가능성도 있다.
인위적으로 특정 직군의 처우나 직업 안정성을 끌어올리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지만 인재들의 유입을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개선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김정호 KAIST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많은 사람들이 공학을 하면 50세쯤 회사에서 나와야 한다고 생각하며 불안해 하는 게 현실”이라며 “특정 분야에서 우수한 기술을 갖고 있거나 성과를 낼 경우 정년 없이 고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문송천 KAIST 경영대학원 교수는 “우수 이공계 학생들에게 장학금과 병역면제 등 파격 혜택을 줄 필요가 있다”며 “인문계에서도 소프트웨어 특화 커리큘럼을 대학에서 제공하는 등 새로운 관점에서 인재양성 계획을 짜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중섭 기자 jseop@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애 첫 복권이 1등 당첨…18세 여대생 '448억 잭팟'
- '1000만원 차액 보상하라' 폭스바겐 차주들 강남 몰려간 이유
- 사망선고 받고 장례식장 옮겨진 여성…숨 쉬고 있었다
- 땅은 하난데 주인이 4000명? 기획부동산 피하려면 [근면한 월급]
- 미스 러시아 호소…'호텔까지 노출, 우크라인들에 협박 당해'
- 30년간 '1만명 몰카'에 열도 발칵…의사·공무원도 찍었다
- '버니즈가 호구냐'…완판 '뉴진스 그램' 수백만원 웃돈 '되팔이' 논란
- '오빠차'의 배신?…람보르기니 10대 중 8대는 '연두색 번호판'
- 'MRI 안 찍어도 된다' 의사들만 아는 '어깨질환' 진단 특급 비법 유튜브 공개
- '마약 투약' 고백했던 '고등래퍼2' 윤병호, 펜타닐·대마 흡연 혐의로 징역 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