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보호 실종자 어디에…대규모 해상 수색에도 흔적 못 찾아

박철홍 2023. 2. 5. 17:1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남 신안 해상서 소라잡이 어선 전복…9명 실종·3명 구조
침수 신고 10분만에 뒤집혀…민관군, 구조 장비·인력 총동원
사고 선박 '침수' 등 문제 안고 출항 강행…당국 "수색에 집중"

(신안·목포=연합뉴스) 장아름 박철홍 정회성 천정인 기자 = 지난 4일 전남 신안군 해상에서 어선이 전복하는 사고가 발생해 9명 선원이 실종 상태다.

겨울철 바다 상황에 실종자 수색·구조를 서둘러야 하지만, 실종 위치가 불분명하고 수색 여건이 좋지 않아 구조에 난항이 이어지고 있다.

사고 선박은 평소에도 침수 등 이상이 있었던 상태에서 출항한 것으로 파악돼, 예견된 사고라는 추정도 나온다.

청보호 전복사고 현장서 실종자 수색 (신안=연합뉴스) 정회성 기자 = 5일 낮 전남 신안군 임자면 재원리 대비치도 서쪽 해상에서 해군과 해경 수색·구조대가 청보호 전복사고 실종자를 찾고 있다. 24t급 인천 선적 통발어선 청보호는 전날 오후 11시 19분께 전남 신안군 임자면 재원리 대비치도 서쪽 16.6㎞ 해상에서 전복됐다. 승선원 12명 중 3명이 구조됐으나 9명은 실종됐다. 2023.2.5 hs@yna.co.kr

'청보호' 기관실 침수 발견 10분 만에 전복

지난 4일 오후 11시 19분께 전남 신안군 임자면 대비치도 서쪽 16.6km 해상에서 12명이 탄 24t급 근해통발(인천선적) 어선 '청보호'가 침수 중이라는 신고가 접수됐다.

해경은 신고 접수 후 즉시 경비함정과 항공기를 현장에 급파하는 동시에 사고 해역으로부터 7.4km에서 항해 중인 화물선에 구조 지원을 요청했다.

최초 침수 신고 약 7~10분 후 화물선이 현장에 도착했을 당시 청보호는 이미 뒤집혀 있는 상태였고, 선원 3명이 가까스로 배에 올라타 구조를 기다리고 있었다.

화물선은 선원 3명을 구조했고, 해경 등 구조 당국은 현재까지 수색 인력을 단계적으로 증원하며 실종자 수색에 주력하고 있다.

청보호에는 사고 당시 총 12명의 승선원이 타고 있었으며, 선장과 기관장을 포함한 9명이 실종 상태다.

구조 당국은 이날 오후 기준 함성 64척, 항공기 12대를 동원해 주변 해역을 9개 영역을 나눠 실종자가 표류하고 있는지 찾고 있다.

해경은 물론 해군·공군 등 군 당국도 대거 투입됐고, 민간 어선 200여 척도 해역 수색에 동참하고 있다.

선내에 실종자가 남아있을 가능성에 대비해 잠수사 58명을 동원해 선내 수색을 14차례 했으나, 선체 내부 격벽이 이중구조로 돼 있고, 어구가 복잡하게 얽혀 있어 실종자를 찾지 못하고 있다.

인양 후 선내 수색이 필요한 상황에 대비해 크레인선이 사고 해역으로 출발해 이날 중 도착할 예정이다.

어선 전복 사고 해경 브리핑 (목포=연합뉴스) 정회성 기자 = 김해철 목포해양경찰서장이 5일 오후 전남 목포시 목포해경 청사에서 어선 전복 사고 개요와 수색 상황을 브리핑하고 있다. 2023.2.5 hs@yna.co.kr

'실종자 9명 어디에'…골든타임은?

실종자 대부분은 선체에서 이탈해 바다에 표류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구조 당국은 예상한다.

사고 당시 선수에 3명, 기관실에 3명, 선미에 6명의 선원이 각각 있었으나 구조된 선원은 선수 쪽 3명뿐이다.

9명은 갑판에 있다가 전복과정에서 이탈했거나, 일부는 선체 내부에 남아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구조 당국은 선체 수색에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표류 가능성에 대비해 조류 흐름 등을 고려하면서 해역 수색을 광범위하게 넓히고 있다.

해경은 만약 선내에 실종자가 남아있다면, 선실에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선내 실종자 생존을 도울 공기주머니(에어포켓)가 선체 내부에 있는지는 현재 여부 알 수 없다.

다만 겨울철 바닷물 수온 등을 고려하면 생존까지 골든타임은 24~36시간에 불과해 수색에 더욱 속도를 내야 한다.

이날 수중 수색에는 기존 해경 대원 외에도 해군 해난구조대(SSU) 등도 현장 투입됐지만, 조류와 펄로 시야 수중 시야가 제약되고, 통발 어구 3천 개와 다른 어망 등이 내부를 가로막고 있어 진입 자체가 쉽지 않다

또 선체 구조가 격벽 구조로 돼 있어 뚫기 어렵고, 기관 장비까지 가로막아 절단 작업 후 수색도 쉽지 않아 조타실만 겨우 수색을 마쳤다.

구조 당국은 실종자가 생존할 수 있는 시간대를 고려해 야간 수색도 진행할 예정이다.

극적 구조후 가족 만남 (목포=연합뉴스) 정회성 기자 = 5일 오후 전남 목포시 목포해경전용부두에 전날 전복한 어선에서 극적으로 구조된 선원 3명이 도착해 가족을 만나고 있다. 2023.2.5 hs@yna.co.kr

신형 선박이 왜…평소에도 '침수 이상'

청보호는 지난해 4월 진수한 비교적 신형 선박임에도 평소에도 이상이 있었다는 생존 선원들의 진술이 나온다.

구조 당국 조사 결과와 생존 선원의 진술 등에 따르면 청보호는 배에 이상이 있어 침수가 반복됐고, 출항 당시에도 배에 기우는 이상 현상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배 오른쪽 엔진이 좋지 않아, (엔진이 있는 쪽) 기관실에 물이 종종 샌 정황도 있다.

특히 사고 발생 약 3시간여 전, 출항 직후에도 물이 새는 현상이 있었지만, 양이 많지 않다는 이유로 그냥 운행했다는 진술도 나왔다.

이날 육지로 이송된 생존 선원도 "출발했을 때부터 배가 좌측으로 기우는 이상이 있었고, 배가 5도 정도 기울어 기관장에게 '항해 시간이 길고 선박이 2층으로 돼 있으니 이를 바로 잡아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외국인 선원이 침실에 물이 샌다고 말해 확인해 보니 기관실 절반가량이 침수된 상황이었다"며 침수 신고 후 10분도 안 돼 배가 급격히 기울어 전복됐다는 취지의 진술도 확보했다고 해경 측은 전했다.

배의 안전 설비에도 문제가 있었다는 지적이다.

선원 일부로부터 사고 시 자동으로 펴져야 하는 구명뗏목이 작동하지 않았다는 얘기도 나왔고, 구조된 선원 대부분이 구명조끼를 착용하지 않은 정황도 있었다.

추가 목격담에 따르면 실종자 중 선미 쪽 인원들은 침수 사실을 전파받고, 배 밖으로 빠져나오려고 했지만, 어구 등에 가로막힌 것 같다는 증언도 있다.

해경 등 수사당국은 이 같은 진술을 토대로 수색이 끝나면 인양한 선체 등을 조사하고 증언을 검증해 사고 원인을 규명할 방침이다.

[그래픽] 신안 해상서 어선 전복 (서울=연합뉴스) 박영석 기자 = 전남 신안 해상에서 12명이 탄 어선이 전복됐다. 승선원 중 3명은 인근에 있던 다른 선박에 의해 구조됐으며, 나머지 승선원은 해경이 수색 중이다. 5일 목포해양경찰서에 따르면 전날 오후 11시 19분께 전남 신안군 임자면 재원리 대비치도 서쪽 16.6㎞ 해상에서 12명이 탄 인천선적 24t급 근해통발어선 청보호가 전복됐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zeroground@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pch80@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