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리포트] 동해에 나타난 명태 떼…알고 보니

김희남 기자 2023. 2. 3. 17: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강원도 고성군 아야진항.

언젠가부터 동해에서 사라진 명태, 있기는 한 걸까.

[ 양재형 | 동해수산연구소 연구사 : 명태. 명태. 이건 큽니다. 50cm 정도 됩니다. 이 정도면 5년 이상 지난 개체입니다.]

굵은 점선, 날렵한 몸매, 뾰족한 주둥이.. 2019년 정부가 명태 포획을 전면 금지한 이후 모처럼 보는 동해 명태, 44마리가 확인됐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동해에 나타난 명태 떼.. 알고 보니]

강원도 고성군 아야진항.

수온 10도, 수심 150미터.

명태 서식의 최적 조건입니다.

언젠가부터 동해에서 사라진 명태, 있기는 한 걸까.

그물을 당겨봅니다.

한참을 겨울 생선 대구가 올라오더니,

[ 양재형 | 동해수산연구소 연구사 : 명태. 명태. 이건 큽니다. 50cm 정도 됩니다. 이 정도면 5년 이상 지난 개체입니다.]

굵은 점선, 날렵한 몸매, 뾰족한 주둥이.. 2019년 정부가 명태 포획을 전면 금지한 이후 모처럼 보는 동해 명태, 44마리가 확인됐습니다.

[ 한동희 | 고성군 아야진 어민 : 과거 30~40년 전에 명태 날 때 그 크기와 같아요. ]

그렇다면 명태가 돌아온 걸까.

동해 명태는 1970~80년대만 해도 한 해 10만 톤을 오르내릴 만큼 많이 잡혔습니다.

그러다가 1990년대 들면서 연간 어획량이 만 톤 아래로 뚝 떨어지더니, 2000년대엔 사실상 무의미한 수치가 됐습니다.

지난 2014년 정부는 '명태 살리기' 사업을 국정과제로 선정하고, 2020년까지 동해 명태를 식탁에 올리겠다고 공언했지만 약속은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

[ 정석근 / 제주대 해양생명과학과 교수 : 과학이라는 것은 시행착오를 통해서 발전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건 그냥 실패했다고 인정하면 됩니다.]

해양수산부가 세계 최초라고 홍보한 명태 양식 기술은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고, 치어 방류 사업도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 이충일 / 강릉원주대 해양생태환경학과 교수: 몇 년 뒤에 우리가 식탁에 올리겠다는 방향보다는 왜 이렇게 됐는지, 제2 제3의 명태가 나타나지 않도록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어쩌다 어민들의 그물에 걸리는 경우도 있지만, 명태 자원이 회복되고 있다기보다 범동해권에 자생하는 소수의 개체군이라는 학설이 유력합니다.

어린 명태의 남획, 기후 변화가 가져온 해수 온도 상승, 다 인간이 초래한 결과입니다.

SBS 김희남입니다.

( 취재 : 김희남 / 영상편집 : / VJ :안민신 / 제작 : D뉴스플랫폼부 )

김희남 기자hnkim@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