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해인사 주지 직무정지…"본분 벗어난 음행 논란"

이세원 2023. 2. 3. 16:3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한불교조계종은 3일 해인사 주지인 현응스님의 계율 위반 의혹을 다루는 중앙징계위원회를 열어 주지로서의 직무 정지를 결정했다.

조계종은 현응스님의 범계(犯戒·계율을 어김) 논란이 종무원의 본분에 벗어난 행위이며, 종무원으로서의 위신을 심각하게 실추시킨 것이라고 징계 사유를 밝혔다.

이날 징계위는 조계종 총무원장인 진우스님과 재적 징계위원 6명 전원이 참석한 가운데 직무 정지를 결정했으며 당사자인 현응스님은 연락두절 상태로 출석 요구에 응하지 않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의혹 확산 한달 만에 배제…징계 당사자는 해명없이 잠적
삼보사찰 해인사 혼돈의 시간…'종단 내 헤게모니 다툼' 분석도
현응스님 [해인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세원 기자 = 대한불교조계종은 3일 해인사 주지인 현응스님의 계율 위반 의혹을 다루는 중앙징계위원회를 열어 주지로서의 직무 정지를 결정했다.

조계종은 현응스님의 범계(犯戒·계율을 어김) 논란이 종무원의 본분에 벗어난 행위이며, 종무원으로서의 위신을 심각하게 실추시킨 것이라고 징계 사유를 밝혔다.

특히 그의 계율 위반 의혹이 '음행'(淫行·음란한 행실)이라고 지목했다.

아울러 현응스님이 상급 기관에 보고하지 않고 정당한 이유 없이 복무지를 이탈한 것은 본사 주지로서 대중(승려와 신도)을 보호하고 청정기풍을 유지할 의무를 내팽개친 것이라고 규정했다.

이와 관련, 조계종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종단 내 수사 기관 역할을 하는) 호법부가 조사하고 그에 따라 별도 징계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로써 조계종은 현응스님을 둘러싼 의혹이 불교계 안팎으로 확산한 지 약 한 달 만에 당사자를 직무에서 배제했다.

이번 의혹은 그가 임기를 약 8개월 남긴 상태에서 지난달 12일 자로 해인사 주지에서 물러난다는 사직서를 제출하면서 표면화했다.

당시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추문 때문이라는 분석이 교계 안팎에서 대두했다.

조계종 총무원 문화부장을 지낸 성공스님을 공동대표로 하는 '해인사 정상화를 위한 비상대책위원회'는 현응스님이 "모 비구니 스님과 속복(속세의 옷) 착용으로 여법(如法·법과 이치에 합당함)하지 못한 장소에서 노출되는 등 문제가 확산하자 사직서를 제출하고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성명을 발표한 바 있다.

해인사 승려 참회 기도 (합천=연합뉴스) 김동민 기자 = 1일 경남 합천군 법보종찰 해인사 대적광전에서 승려가 참회 기도를 올리고 있다. 해인사는 성추문 의혹 등 사찰 안팎으로 각종 의혹에 휩싸이고 있다. 2023.2.1. image@yna.co.kr

그 뒤로 삼보 사찰인 해인사는 혼돈에 휩싸였다.

지난달 16일 해인총림은 중요 의사 결정 기구인 임회(林會)를 열어 현응스님에 대해 계율을 어긴 승려를 절에서 내쫓는 '산문출송'(山門黜送)을 결정했다.

또 차기 주지로 원타스님을 추천하기로 했는데 이에 반대하는 일부 승려와 해인사 관계자가 물리적으로 충돌하면서 종무원 1명이 다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해인사 중진 승려들이 안거(安居·외출하지 않고 수련하는 기간) 중에 사복을 입고 국내 외에서 골프를 쳤다는 의혹도 교계지에 보도됐다.

사태 수습 방식을 놓고 한때 해인사와 조계종 총무원이 대립했다.

총무원은 호법부 조사가 완료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사직 처리와 후임자 임명을 보류했다.

해인사 측은 사직서를 낸 즉시 효력이 발생하니 후임 임명 절차를 진행해야 한다며 반발하다 지난달 30일에서야 차기 주지 추천을 철회했다.

불교계에서는 일련의 사건이 개인의 계율 위반을 넘어 종단 내 헤게모니 다툼 과정에서 벌어졌다는 해석도 나왔다.

참여불교재가연대 교단자정센터는 "현응은 대리인을 내세워 차기 주지 선출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전 총무원장(자승스님)을 비롯하여 선각 해인사 전 주지 등은 이번 사태를 빌미로 해인사를 장악하려 한다는 소문이 벌써 파다하다"고 지난달 성명을 발표했다.

해인사 정상화 위한 비대위 피켓팅 (서울=연합뉴스) 신준희 기자 = 성추문 의혹을 받는 해인사 전 주지 현응스님에 대한 중앙징계위원회가 열리는 3일 종로구 조계종 총무원 앞에서 해인사 정상화를 위한 비상대책위원회 소속 스님들이 피켓팅을 하고 있다. 2023.2.3 hama@yna.co.kr

정의평화불교연대는 비대위 배후에 자승 전 총무원장이 있다는 설(說)을 거론하고서 "비대위의 연이은 폭로 또한 순수하게 쇄신과 정화를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니라 해인사를 손에 넣기 위한 술책이라는 소문이 파다하다"고 주장했다.

이날 징계위는 조계종 총무원장인 진우스님과 재적 징계위원 6명 전원이 참석한 가운데 직무 정지를 결정했으며 당사자인 현응스님은 연락두절 상태로 출석 요구에 응하지 않았다.

비대위는 징계위 개최에 앞서 조계종 총무원 인근에서 현응 스님의 직무 정지를 요구하는 피켓 시위를 벌였다.

sewonlee@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