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美통화량 역대 첫 감소…‘통화주의’의 귀환?

유병훈 기자 2023. 2. 3. 16: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약 40년 만의 인플레이션에 금리를 급격히 올리는 등 공격적인 통화긴축 정책을 펼치면서, 지난해 미국의 광의 통화량(M2 기준)이 역대 처음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M2 통화량은 전년 동월 대비로는 3000억달러(약 369조원) 가까이, 연준이 기준금리 인상을 시작한 지난해 3월 이후로는 5300억달러(약 652조원) 이상 각각 줄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달러화 /연합뉴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약 40년 만의 인플레이션에 금리를 급격히 올리는 등 공격적인 통화긴축 정책을 펼치면서, 지난해 미국의 광의 통화량(M2 기준)이 역대 처음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연준이 집계한 지난달 M2 통화량은 21조2000억달러(약 2경6000조원)로 계절조정 기준 전월 대비 1474억달러(약 181조원) 줄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지난달 M2 통화량은 전년 동월 대비로는 3000억달러(약 369조원) 가까이, 연준이 기준금리 인상을 시작한 지난해 3월 이후로는 5300억달러(약 652조원) 이상 각각 줄었다.

이에 따라 통화량 감소세가 5개월 연속 이어지면서 작년 연간 M2 통화량은 관련 기록이 집계된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다.

M2는 넓은 의미의 통화량 지표로 현금·요구불예금·수시입출금식 예금(이상 M1) 외에도 머니마켓펀드(MMF)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 자금을 포함한다.

연준은 지난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경기침체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국채와 주택저당증권(MBS) 매입을 통해 시중에 막대한 유동성을 공급했다. 이로 인해 M2 통화량은 팬데믹 직전보다 6조3000억달러(약 7747조원), 40% 급증했다.

연준은 이후 지난해 6월 월 475억달러(약 58조4000억원) 규모로 양적긴축(QT)을 시작했고 9월부터는 양적긴축 규모를 월 950억달러(약 116조8000억원)로 늘린 상태다.

로이터는 최근 경제 상황에 따라 통화 공급 증가가 인플레이션을 불러오며 인플레이션은 통화적 현상이라는 ‘통화주의’ 학설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고 전했다.

코로나19 확산 전까지는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통화완화 정책으로 M2가 80% 넘게 늘어났음에도 물가 상승률이 연준 목표치인 2%를 넘은 적이 없었기 때문에 통화주의의 신뢰도도 떨어졌었다. 하지만 최근 2년간 통화 공급이 급증하면서 인플레이션도 심해졌고 지난해 통화공급이 감소한 가운데 인플레이션 압력도 약해지면서 통화주의는 재평가를 받게 됐다.

연준 내 매파(통화긴축 선호)인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이달 초 “(M2 통화량이) 팬데믹 기간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인플레이션이 정확히 예측됐다”면서 “인플레이션은 분명히 통화적 현상”이라고 했다. 이어 “통화에 큰 움직임이 있으면 인플레이션에서도 그렇다”면서 최근의 통화공급 진정세에 대해 “인플레이션 완화를 위한 좋은 징조”라고 말했다.

다만 투자은행(IB) 제프리스의 토머스 사이먼스 이코노미스트는 “통화공급 변화와 인플레이션의 관계는 (기존의 이해보다) 훨씬 덜 단선적”이라고 말하는 등 유보적 입장도 여전히 있다고 로이터는 덧붙였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