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폰 보다 더 벌었다” 사상 첫 추월, 코로나로 떼돈 번 회사

2023. 2. 3. 06:5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삼성 갤럭시 매출을 이겼다."

코로나 백신 판매로 174년 역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매출 비결은 코로나19 백신 '코미나티주'와 치료제 '팍스로비드' 덕분이었다.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체만으로 약 70조원의 매출을 기록한 것.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손인규 기자]“삼성 갤럭시 매출을 이겼다.”

코로나 백신 판매로 174년 역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코로나가 전 세계 재앙이지만, 최소한 이 기업에는 호재 중의 호재였던 셈이다. 미국 제약회사 화이자다.

화이자는 최근 실적 발표를 통해 작년 4분기 243억달러 매출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238억달러)13% 증가한 결과다.

화이자는 이를 포함, 작년 총 매출이 1003억달러(약 123조원)에 이르렀다. 전년 대비(812억달러) 23% 증가한 결과로, 화이자가 174년 역사상 연매출 1000억달러를 돌파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삼성전자 모바일 사업부의 작년 매출(120조원)보다 많다.

화이자가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코미나티주[연합]
화이자가 개발한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화이자 제공]

매출 비결은 코로나19 백신 ‘코미나티주’와 치료제 ‘팍스로비드’ 덕분이었다. 작년 코미나티주의 매출은 378억달러를 기록했다. 팍스로비드는 189억달러의 매출을 올렸다. 두 제품만 해도 매출 567억달러에 이른다.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체만으로 약 70조원의 매출을 기록한 것.

알버트 불라 화이자 최고경영자(CEO)는 실적 발표를 통해 “2022년은 화이자에게 기록적인 한 해였다(2022 was a record-breaking year for Pfizer)”고 소감을 밝혔다.

알버트 불라 화이자 최고경영자[연합]

업계 관계자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거의 전세계가 화이자 백신을 수입해 맞았다고 보면 된다”며 “코미나티주는 10년 가까이 전 세계 의약품 매출 1위를 놓치지 않았던 휴미라까지도 제쳤다”고 말했다.

다만 올해엔 화이자 매출이 꺾일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코로나 엔데믹 전환에 따른 백신과 치료제 수요가 크게 줄 전망이다.

실제 작년 1분기 132억달러로 정점을 찍었던 코미나티주 매출은 2분기 88억달러, 3분기 44억달러까지 크게 떨어졌다. 4분기 추가 접종 영향으로 113억달러까지 반등을 보였지만, 추세적으론 하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팍스로비드 역시 1분기 출시 후 14억달러로 시작해 2분기 81억달러까지 크게 뛰었지만 3분기부터는 하향세다. 4분기엔 18억달러까지 내려갔다.

화이자가 예상하는 올해 코미나티주의 매출은 최대 135억달러(16조원), 팍스로비드는 80억달러(9조원)다. 두 제품의 예상 매출이 총 215억달러(26조원)로, 작년 매출의 절반도 못 미친다.

올해 화이자 전체 매출도 최대 710억달러(87조원)로 올해보다 떨어질 전망이다.

화이자도 이제 코로나 외의 사업군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2025년부턴 매출 상승을 보이겠다는 게 화이자 전략이다.

[헤럴드DB]

화이자에 따르면, 현재 백신, 항암제, 바이오시밀러 등 약 19개 후보물질이 출시에 근접한 상태다. 화이자는 현재 110여개의 파이프라인을 개발 중인데, 이 중 39개가 임상 3상 또는 허가신청 단계까지 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알버트 최고경영자는 지난 1월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도 “향후 비즈니스 전략은 비코로나(Non-COVID) 사업 ,그 중에서 항암제, 백신, 면역제제 등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ikson@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