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S23 출시됐지만…값비싼 신제품 대신 중고 인기
[앵커]
삼성전자의 대표 스마트폰 갤럭시의 신제품 S23이 공개됐습니다.
향상된 카메라 성능과 속도가 빨라진 그래픽 장치를 내세웠는데요,
다만 원자잿값이 급등하면서 가격도 껑충 뛰었습니다.
기본 모델이 115만 5천 원으로 이전보다 15% 정도 올랐고, 최고 사양은 2백만 원에 육박합니다.
요즘 같은 시대엔 선뜻 지갑 열기 부담되는 값인데요.
이러다보니 새제품 대신 중고 스마트폰을 찾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습니다.
김유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기도의 한 중고 휴대전화 매장입니다.
새 학기를 앞두고 스마트폰 수요가 크게 늘었는데, 신제품이 워낙 비싸다 보니 중고품을 찾는 문의가 끊이지 않습니다.
[한아로/중고 휴대전화 판매점 직원 : "경제가 좀 많이 어렵다 보니까 학생분들이나 연세가 있으신 분들이 가성비가 좋은 (중고) 휴대전화를 많이 찾으세요."]
KBS가 국내 최대 규모의 중고 휴대전화 플랫폼을 통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거래 규모는 1조 3,500억 원으로 3년 새 두 배 이상 늘어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지난해 가장 많이 거래된 중고 스마트폰은 출시 3년 이내 제품들로, 출고 가격의 1/3 정도면 중고제품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박지윤/경기도 안양시 : "식품도 그렇고, 다른 전자기기들도 그렇고 전체적으로 물가 상승이 너무 많이 올라서 그걸 직접 신상품으로 사기에는 조금 부담이 되는 것 같아요."]
스마트폰의 성능과 내구성이 좋아지면서 평균 2년 안팎이던 교체 주기가 4년 가까이로 늘어난 점도 중고 거래 활성화에 한몫을 하고 있습니다.
[김대혁/중고 휴대전화 수리 직원 : "새로 나오는 휴대전화들은 배터리 수명이 더 길어서 확실히 예전에 나온 것보다 더 오래 잘 쓸 수 있습니다."]
이 같은 추세는 신제품 판매량에도 영향을 미쳐, 지난해 전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은 전년보다 11% 정도 감소해 2013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는 경기 둔화 추세가 이어지며 올해 전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이 지난해보다 4%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KBS 뉴스 김유대입니다.
김유대 기자 (ydkim@kbs.co.kr)
저작권자ⓒ KBS(news.kbs.co.kr)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4인가구 전기료 1년 전보다 11,000원 오른다…“누진제 주의”
- ‘천공 尹관저 개입’ 재등장…“CCTV 공개해야” “청담동 시즌2”
- 윤핵관, 安에 총공세…“가짜 윤심팔이” “대통령이 분개”
- 민주, 난상토론 속 ‘이상민 탄핵’ 일단 보류
- [단독] 檢, 하얏트호텔 난동 ‘전국 10대 조폭’ 대거 소환…KH그룹 관련성 수사
- [제보K] tvN 예능, 책 무단 도용 기소…“1년 가까이 보상 없어”
- 스마트폰 수명 늘었는데…‘셀프 수리’ 미국만 가능
- 넉 달 만에 나온 안심전세 앱…“예방 기능 한계”
- 미 B-1B·F-22 전격 전개…북 “초강력 대응”
- ‘덮개만 있었다면’…안전 불감 잇단 지붕 추락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