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민들 “사회재난 취약”… 대기오염·감염병·화재 ‘불안’

이지용 기자 2023. 2. 2. 19:05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천연구원, 10개 군·구 1천명 대상 ‘재난안전 의식조사’
교통사고·범죄 가장 많이 꼽아… 풍수해·황사도 걱정
인천 동구 만석동의 한 가구공장에서 불이 나 소방관이 불을 끄고 있다. 경기일보DB

 

인천시민들이 ‘사회재난’을 인천에서 가장 취약한 재난 분야로 꼽았다. 이에 따라 지역 맞춤형 정책 및 재난안전 정보공유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2일 인천연구원에 따르면 인천지역 10개 군·구 시민 1천명을 대상으로 재난안전 의식조사를 한 결과, 대기오염·감염병·화재·건물붕괴 등 사회재난(31.4%)이 인천에서 가장 취약한 재난 분야라고 답했다. 사회재난은 사회구성원이 각종 활동 등을 하며 유발한 화재·교통사고·환경오염사고 등의 재난을 뜻한다. 사회재난 가운데서도 가장 취약한 분야는 도로교통 사고(64.1%)이며 범죄(41.6%), 대기오염·미세먼지(41.2%) 등의 순이다. 

이어 인천시민이 2번째로 취약하다고 판단한 인천의 재난 분야는 자연재난(31.3%)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재난의 취약한 유형별로는 풍수해(37%), 황사(36.2%), 폭염(14.4%), 대설·한파(8.3%) 등의 순이다. 인천연구원은 풍수해와 황사의 비율이 높은 것에 대해 우리나라에서 이들 재난의 발생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했다.

특히 인천시민들이 직접 경험한 사회재난 분야 중 가장 많은 재난은 대기오염·미세먼지(34.8%)다. 이어 감염병(28.3%), 도로교통 사고(26.8%), 화재·폭발(21.7%) 등의 순으로 사회재난을 경험했다. 또 인천시민은 자연재난 분야에서 풍수해(54.3%), 황사(32.6%), 폭염(31.9%), 대설·한파(23.2%) 등의 순으로 경험했다.

이와 함께 인천시민 대부분은 인천시의 재난안전정책에 대해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난안전정책 중 하나인 안전문화운동추진협의회를 ‘모른다’라고 답변한 비율은 81.8%로 가장 높다. 또 복원력 허브에 대해 80.5%, 공공앱 안심 in에 대해서는 69.6%가 모르고 있다. 인천연구원은 시의 정책 전반에 대한 시민 대상의 정보공유가 이뤄지고 있지 않은 탓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인천연구원은 재난 유형별, 직무 성격별로 나눠진 소관 부서 및 소통 창구를 일원화하는 ‘총괄조정담당관’ 설치를 제언했다. 이를 통해 재난안전 거버넌스 주체의 의견을 청취·조정하고 재난 발생시 재난안전대책본부와 재난 발생 현장 간의 소통 창구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밖에도 인천연구원은 자원봉사센터를 통해 재난안전·방재 전문성과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의 필요성도 제시했다. 또 민간을 통해 재난취약계층과 상시 연락망을 구축하고 취약지역을 정기 모니터링하는 방안도 내놨다.

조성윤 인천연구원 경제환경연구부 연구위원은 “대부분의 시민이 재난에 대한 홍보 및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지자체가 나서 재난 및 안전사고 등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시민참여와 지역 맞춤형 대책 등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했다.

이지용 기자 leeiy5222@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