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값 '뚝'…거래량은 '뚝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부동산 경기 침체에 토지 가격도 하락 흐름을 피하지 못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토지 가격 하락은 고금리에 의한 주택시장 침체가 주된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서진형 경인여대 MD상품기획비즈니스학과 교수(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는 "월별 땅값이 하락한 것은 금융위기 여파가 이어지던 2010년 이후 12년여 만에 처음이다"며 "이렇게 토지가격이 하락하는 것도 가장 큰 요인으로는 기준금리라는 외부적 요인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12월 전국 토지 3.3㎡당 평균 거래가 106만원
평균 거래가 9개월만에 30% 이상 하락, 거래량도 감소
주거용 토지 가격 상승률, 거래량 감소 영향 크게 작용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부동산 경기 침체에 토지 가격도 하락 흐름을 피하지 못했다. 최근 금융채 금리가 하락하면서 은행 변동금리 대출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떨어지고 있지만 금리 부담이 여전한데다가 부동산 경기가 단시간 내에 풀리지 않겠다고 보는 우려가 크다.
토지 거래건수도 감소했다. 지난해 12월 전국 토지 거래량은 3만2292건으로 5만8000건대를 기록하던 같은 해 3~4월에 비해 2만6000건 가까이 줄었다. 2021년 가장 많은 거래건수를 보였던 3월 8만3163건과 비교하면 5만건 이상 급감했다. 연간 합산 토지 거래건수도 2021년 75만8723건에서 2022년 54만8139건으로 줄었다.
토지 거래 평균 가격이 하락하고 거래 건수가 줄어든 이유 중 가장 큰 원인은 주택시장 침체 때문이다. 국토부가 지난해 12월26일 발표한 ‘2022년 연간 전국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에 따르면 주거 관련 용도의 토지 가격과 거래량이 크게 낮아졌다. 용도지역별 토지 가격 상승률은 주거(4.59%→2.62%)나 상업(4.55%→3.20%), 농림(3.04%→2.22%) 순의 변화를 보였다. 이용 상황별로도 대지 주거용(4.41%→2.12%) 토지 가격 상승률 가장 크게 줄었고 전(3.84%→3.14%) 답(3.56%→2.74%) 순으로 나타났다.
시장 전문가들은 토지 가격 하락은 고금리에 의한 주택시장 침체가 주된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서진형 경인여대 MD상품기획비즈니스학과 교수(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는 “월별 땅값이 하락한 것은 금융위기 여파가 이어지던 2010년 이후 12년여 만에 처음이다”며 “이렇게 토지가격이 하락하는 것도 가장 큰 요인으로는 기준금리라는 외부적 요인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서 교수는 “대출 금리를 5~6%라고 잡았을 때 3년이면 토지든 주택이든 20% 가까이 올라야 매수할 유인이 생긴다”며 “지금 상황으로는 그렇지 못하니 자연스럽게 거래도 줄고 가격도 하락하는 것이다”고 덧붙였다.
이윤화 (akfdl34@edaily.co.kr)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카메라에 포착된 안철수 손가락 메모…뭐라고 적었나 봤더니
- (영상)회전초밥에 침 묻히고, 간장병 핥곤 '엄지 척'…열도 발칵
- 진실은 친모 석씨만 안다…미스터리 된 '구미 여아' 사건
- "멧돼지인줄 알았다" 택시기사에 엽총 쏴 사망, 엽사 실형
- "나 중대장인데.." 간부 사칭 병사, 전역은 저~ 멀리로
- 하마터면 말 걸 뻔했다…리움미술관에 죽친 노숙자들에게
- “끊을게요”… 촬영장서 마약 투약한 20대女, 집행유예 받은 까닭
- 아무리 아껴도 피할 수 없는 '6만 4천원'
- 집에서 홀로 숨진 두 살배기…우편함엔 체납 고지서만
- 부모 직장까지 잃게 했던 과외…8년만에 허용되다[그해 오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