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 금메달리스트는 '눈 감고도 버디' 할까

조수영 2023. 2. 2. 18:1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골프를 하다 샷을 망칠 때 자조 섞인 말투로 내뱉는 대표적 한탄이지만 눈 감고 스윙하기란 세계 톱랭커 골퍼에게도 어려운 일이었다.

도쿄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자 미국프로골프(PGA)투어 7승 보유자인 잰더 쇼플리(29·미국)가 눈을 가린 채 파3 도전에 나서 쓴맛을 봤다.

이번 도전은 쇼플리의 후원사인 하이랜드소프트웨어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됐다.

이 영상에서 쇼플리는 두 번에 나눠 도전에 나섰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도쿄올림픽 金' 쇼플리의 실험
파3홀서 혼자 도전해 6오버파
재도전 땐 주변 도움받아 버디
하이랜드소프트웨어 유튜브 채널 캡처

‘눈 감고 해도 그거보단 잘 치겠다!’

골프를 하다 샷을 망칠 때 자조 섞인 말투로 내뱉는 대표적 한탄이지만 눈 감고 스윙하기란 세계 톱랭커 골퍼에게도 어려운 일이었다. 도쿄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자 미국프로골프(PGA)투어 7승 보유자인 잰더 쇼플리(29·미국)가 눈을 가린 채 파3 도전에 나서 쓴맛을 봤다.

이번 도전은 쇼플리의 후원사인 하이랜드소프트웨어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됐다. 이 영상에서 쇼플리는 두 번에 나눠 도전에 나섰다. 첫 번째 도전에서는 아무런 도움과 정보 없이, 말 그대로 깜깜이 상태로 쳤다. 천하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에게도 깜깜이 골프는 무리였다. 첫 샷은 코스 밖으로 나가버렸고 이어진 두 개의 샷은 모두 벙커로 향했다. 이후 연이은 샷 미스와 퍼팅 실수 끝에 그는 9타, 섹스튜플 보기로 홀아웃했다.

두 번째 도전에서는 결국 캐디와 자신의 아버지이자 스윙코치인 스테판의 도움을 받았다. 핀까지의 거리를 듣고 친 쇼플리의 티샷은 홀을 스쳐 지나가 핀에서 2m 거리에 멈춰섰다. 캐디와 스테판의 함성으로 샷을 잘 쳤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쇼플리는 “아무것도 볼 수 없으니 너무 답답하다”고 하소연했다.

그린에서도 쇼플리는 한번에 퍼트를 성공시키며 버디를 잡아냈다. 주위의 도움으로 완벽한 결과를 만들어낸 데 대해 쇼플리는 “보통의 상황에서 내가 정확하게 에이밍했는지, 클럽페이스 정렬이 올바른지 다른 사람들의 판단을 들을 수 없다”며 “핀까지의 거리와 방향, 클럽 페이스 정렬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었기에 눈을 떴을 때보다 더 잘 친 것 같다”고 말했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