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천에서 용 '안'난다… 부모 소득 많으면 자녀 임금도 높아져”

이은영 2023. 2. 2. 17: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흙수저·금수저 등 이른바 '수저 계급'이 세습될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특히 자녀의 청소년기에 부모 소득이 많을수록 대체로 자녀의 임금 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지은 노동연구원 전문위원과 정세은 충남대 교수는 2일 '경제학술대회'에서 이런 내용을 포함한 '부모의 소득·학력이 자녀 임금에 미치는 영향' 논문을 발표했다.

이 위원과 정 교수는 "부모 가구소득의 양극단에서 자녀 임금이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빈부의 대물림을 예측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지은 노동연구원 전문위원·정세은 충남대 교수 논문
▲ 인터넷에 떠돌고 있는 수저계급론. 일러스트/한규빛 기자

흙수저·금수저 등 이른바 ‘수저 계급’이 세습될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특히 자녀의 청소년기에 부모 소득이 많을수록 대체로 자녀의 임금 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지은 노동연구원 전문위원과 정세은 충남대 교수는 2일 ‘경제학술대회’에서 이런 내용을 포함한 ‘부모의 소득·학력이 자녀 임금에 미치는 영향’ 논문을 발표했다.

논문에 따르면 한국노동패널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1980년~1990년대 출생자의 경우 ‘주관적 부친 가구소득’과 본인의 임금 사이에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확인됐다.

주관적 부친 가구소득은 “만 14세 당시 경제적 형편이 어땠냐”는 질문에 대한 조사 대상자의 응답을 5가지 수준(평균보다 훨씬·약간 낮았다-평균-평균보다 약간·훨씬 높았다)으로 분류한 것이다.

자녀의 임금은 아르바이트·인턴 등 불안정한 일자리가 아닌 첫 번째 일자리의 3년간 임금을 평균값으로 사용했다.

부모 소득을 5분위로 구분했을 때 부친의 가구소득이 한 단계 높아지면 1980년대, 1990년대 출생자의 임금은 각 9.8%, 9.1% 늘었다.

반면 1960년대생, 1970년대 출생자의 경우 각각 1%, 0.3% 증가하는 데 그쳤다.

1980∼1990년대 출생자를 대상으로 ‘객관적 부친 가구소득’과 임금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비슷한 상관관계가 드러났다.

이 위원과 정 교수는 “부모 가구소득의 양극단에서 자녀 임금이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빈부의 대물림을 예측할 수 있다”고 밝혔다.

Copyright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