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난방비는 거들뿐, 전기요금 인상 대비해야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 2023. 2. 2. 09: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난방비 폭탄을 맞았다고 한다.

탄소중립 하려면 가스를 전기로 바꾸고 전기를 무탄소 에너지로 생산해야 한다.

난방도 전기로 해야 하니 전기사용은 늘 수밖에 없다.

사용후핵연료를 10만년 보관해야 한다는 걱정을 조장하며 처분장 건설을 막아 원전의 발목을 잡기보다 치솟는 전기요금에 힘들어 할 서민들을 봐야 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사진=정동욱 교수

난방비 폭탄을 맞았다고 한다. 난방에 쓰는 가스값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폭등했기 때문이다. 다행히 올들어 LNG 가격은 평년 수준으로 떨어지고 있다. LNG 같은 화석연료는 변동이 심하나 탄소중립으로 사용량은 줄어들 것이고 가격은 안정화 될 것이다. 그 사이 예상치 못한 사태로 변동이 있더라도 일시적이다.

반면에 전기요금은 계속 오를 것이다. 지금의 요금 인상은 연료비 앙등 때문이다. 그런데 연료비가 떨어져도 한전은 돈 쓸일이 너무 많다. 탄소중립 하려면 가스를 전기로 바꾸고 전기를 무탄소 에너지로 생산해야 한다. 난방도 전기로 해야 하니 전기사용은 늘 수밖에 없다. 탄소중립위원회가 예측한 2050년의 전기수요는 지금의 두배를 넘는다. 이를 맞추려면 전력망도 늘려야 한다.

산업부의 '전력계통 혁신방안'에 따르면 전력망 확충을 위해 78조원이 필요하다. 한전 적자의 2.5배다. 그 뿐 아니다. 한전의 화력발전소를 원전이든 재생이든 무탄소 설비로 바꿔야 한다. 한전의 화력발전설비는 51GW, 즉 원전 50기 규모다. 새만금에 건설하는 4GW 태양광 및 풍력 단지에 10조원이 든다고 한다.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으로 51GW 대체를 위해서는 새만금 단지 50개는 필요하다. 건설비만 500조원이다. 단순화된 계산이지만 한전이 얼마나 많은 돈이 필요하며 전기요금이 얼마나 오를 지 가늠하기 어렵다. 난방비는 거들뿐 전기요금은 더 큰 시름이 될 것이다.

전기요금 인상을 줄일 수 있는 것은 원전뿐이다. 원전의 전기 값은 가스의 4분의1, 재생에너지의 3분의1 수준이다. 그런데 원전을 쓰려면 사용후핵연료를 해결해야 한다. 바로 처분장 마련이다. 지금까지 해결 못한 것은 기술 보다는 수용성이 낮아서다. 발전소에 넣어 둘 수있어서 급하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제는 사정이 다르다. 원전의 저장소도 거의 차고, 사회적 수용성도 변할 때가 됐다. 이 시대의 가장 큰 위협은 원전이 아니라 기후변화다.

원전이 싫더라도 우선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더 나은 에너지가 나오면 쓰면 된다. 현대 사회에 재생에너지로 우리가 필요한 전기를 모두 충당할 수는 없다. 가스발전을 쓸 수는 없으니 재생과 원전의 조합으로 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니 사용후핵연료 처분장은 원전이 아니라 우리 사회를 위해 필요한 것이다. 남은 시간도 많지 않다. 이미 두차례의 공론화를 거쳤고 특별법이 국회에 계류돼 있다. 국회는 조속히 특별법을 처리해야 한다.

기후변화로 혹서와 혹한은 더 심해진다고 한다. 사용후핵연료 문제를 해결해서 기후변화에 대처하며 더 긴요한 생활에 절약된 돈을 쓰도록 해야 한다. 사용후핵연료를 10만년 보관해야 한다는 걱정을 조장하며 처분장 건설을 막아 원전의 발목을 잡기보다 치솟는 전기요금에 힘들어 할 서민들을 봐야 한다.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