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 오취리 “한국 캔슬 컬처 심해…2년간 일 없었다”

박정민 2023. 2. 1. 18: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가나 출신 방송인 샘 오취리가 한국의 캔슬 컬처 문화가 심하다고 말했다.

샘 오취리는 지난 1월 31일 유튜브 채널 '주빌리'에 게재된 "What Is It Like To Be Black In South Korea?(대한민국에서 흑인으로 산다는 것은?)"라는 제목 영상에 등장했다.

이날 "한국은 심한 캔슬 컬처를 갖고 있나"라는 질문에 샘 오취리는 "매우 그렇다. 난 2년 동안 일이 없었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엔 박정민 기자]

가나 출신 방송인 샘 오취리가 한국의 캔슬 컬처 문화가 심하다고 말했다.

샘 오취리는 지난 1월 31일 유튜브 채널 '주빌리'에 게재된 "What Is It Like To Be Black In South Korea?(대한민국에서 흑인으로 산다는 것은?)"라는 제목 영상에 등장했다.

이날 "한국은 심한 캔슬 컬처를 갖고 있나"라는 질문에 샘 오취리는 "매우 그렇다. 난 2년 동안 일이 없었다"고 밝혔다.

캔슬 컬처란 공적 지위에 있는 사람이 논쟁이 될 만한 행동이나 발언을 했을 때 SNS 등지에서 해당 인물에 대한 팔로우를 취소하거나 외면하는 문화를 뜻한다.

앞서 샘 오취리는 2020년 SNS를 통해 의정부고등학교 학생들의 관짝소년단 패러디 졸업 사진을 향해 흑인을 비하하는 인종차별이라고 지적했다. 당시 학생들은 상여꾼들이 운구 중 춤을 추는 가나의 장례 문화를 담은 밈을 패러디했다. 학생들은 얼굴을 검게 칠하는 블랙 페이스를 했다.

이와 관련 샘 오취리는 "흑인 입장에서 매우 불쾌한 행동이다. 문화를 따라 하는 건 알겠는데 얼굴 색칠까지 해야 하나"라며 불편한 심경을 드러냈다.

일부 네티즌들은 샘 오취리의 문제 제기 방식을 지적했다. 유명인이 미성년자인 학생들의 얼굴과 학교를 노출시켰다는 것. 영어와 한국어 글 뉘앙스가 다르다는 점, 사건과 관련 없는 '#teakpop(K-POP 가십 거리를 다루는 해시태그)'를 덧붙여 학생들을 국제적 비난대에 올리려 했다는 점도 지적받았다.

또한 샘 오취리가 과거 한 예능 프로그램에서 동양인을 비하한 것으로 보이는 눈을 찢는 행동을 한 것이 재조명됐다. 결국 샘 오취리는 당시 출연하던 모든 방송에서 하차하고 활동을 중단했다.

샘 오취리는 "내가 느낀 대로 말했다가 그렇게 심하게 반발을 살 거라고 생각도 못 했다. 블랙페이스에 대한 글을 올렸을 때 하룻밤 사이에 화제가 됐다. 사람들이 날 빠르게 버렸다"고 털어놨다.

함께 출연한 모델 한현민은 "한국에서 공인으로 살 때 조심해야 할 게 많다. 저도 SNS를 잘 안 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사진=뉴스엔DB)

뉴스엔 박정민 odult@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en@newsen.com copyrightⓒ 뉴스엔.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스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