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시선] 뿌리기업 인력난 해법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산업혁명은 사람의 일자리를 없앤다는 고정관념이 있다.
특히 주조, 금형, 소성가공, 용접, 열처리, 표면처리 등을 하는 뿌리기업일수록 더 어렵다.
하지만 뿌리기업들은 언감생심이라는 반응이다.
뿌리기업들은 영세하기 때문에 투자를 하고 싶어도 여력이 없는 기업이 대부분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이 시작되면서 사람들이 가장 먼저 걱정한 것은 인공지능(AI)이 사람의 일자리를 뺏는다는 것이다. 최근 챗GPT가 유행하면서 전과 다르게 위기의식을 느끼는 사람들이 생겨나고 있다.
하지만 4차 산업혁명 기술 중 하나인 로봇을 이용한 산업의 자동화는 어떻게 봐야 할지 생각해봐야 할 시점이다. 최근 평균 연봉이 7000만원을 넘는 대기업 제조사도 지원자가 급감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전통 제조업, 영세기업일수록 더 심해진다. 특히 주조, 금형, 소성가공, 용접, 열처리, 표면처리 등을 하는 뿌리기업일수록 더 어렵다. 해마다 출산율은 감소하고 있고 어렵게 얻은 아이들이 제조현장에 가서 일하는 것을 바라는 부모는 없을 것이다. 귀하게 자란 아이들도 이젠 공장에서 일을 하지 않으려 한다. 이 자리는 외국인 근로자들로 대체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실제 대기업들은 힘들거나 위험한 일은 자동화를 통해 로봇으로 대체하고 있다. 최근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에선 강재를 절단해 블록을 제작하는 용접공정을 로봇에 맡겼다. 이후 용접량도 늘어나고 작업시간이 단축돼 생산성이 약 40% 향상됐다는 게 업체의 설명이다. 르노삼성자동차도 이송로봇과 용접로봇을 사용해 용접 자동화율은 99.7%에 달한다고 한다. 색깔을 입히는 도장공정의 자동화율은 100%다. 어렵고 힘든 일을 대체하다 보니 젊은 근로자들이 지원해 평균 근로자 나이가 업계 평균보다 10세나 적다. 또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면서 처벌을 피하기 위해 위험한 작업에 로봇을 사람 대신 투입해 안전사고 가능성을 낮춘다는 목적도 있다.
최근 중소벤처기업부에서도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총 267개사에 2억원씩 534억원을 지원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하지만 뿌리기업들은 언감생심이라는 반응이다. 예전 국가뿌리산업진흥센터가 스마트공장 참여 여부를 조사한 결과 4%만 참여의사를 밝힌 바 있다.
현실적인 문제로 자동화가 가능한 공장설비를 바꾸려면 최소 10억원 이상 들어가기 때문이다. 뿌리기업들은 영세하기 때문에 투자를 하고 싶어도 여력이 없는 기업이 대부분이다.
그렇다고 산업의 근간인 뿌리기업을 포기할 수는 없다. 정부에서 좀 더 현실적인 정책을 펼치길 바란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중기생경부장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사과 박스 같다" 미술 동호회 단톡방에 환자 내시경 사진 뿌린 의사
- 얼굴이 바지에... 인천 초등생 사망 전 CCTV 보니 '끔찍'
- 중독된 유아인, 담당 병원장에 받은 문자 내용이...
- 인천 금속 가공공장서 50대 근로자 산업용 세척기에 끼여 사망
- '마약 생방송' 전두환 손자, 가족보다 먼저...뜻밖의 최후
- "나쁜 XX라 따라해"…정명석 성대모사한 김기수, 누리꾼들 '비난'
- 女 승무원들 수상한 치약의 실체... 공항 '발칵'
- 너무 더워서 수영복 입고 등교하는 학생들 보니...
- 인천서 발견된 일가족 변사체, 주차된 차 살펴보니...
- 부부싸움하다 고속도로 한복판에 차 세웠는데...참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