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 규제 싹 풀렸지만 몸 사려야"... 2월 분양 반 토막

김동욱 2023. 2. 1. 16: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주택시장 경착륙을 막기 위해 규제를 대거 풀었지만 분양시장은 잠잠하다.

경기 침체와 고금리 탓에 유망 단지도 흥행을 장담할 수 없을 만큼 미분양 우려가 커지자 건설업계는 일단 몸을 사리고 보자는 분위기다.

광주의 중견건설사 대표는 "프로젝트파이낸싱(PF) 금리가 치솟아 매달 이자만 수백억 원을 감당해야 하는데 미분양으로 계약금이 안 들어오면 바로 자금난에 부닥친다"며 "현재 분양은 엄두도 못 낸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월 1만2000가구 분양 예정
건설사 1만 가구 넘게 연기
"미분양 후폭풍, 엄두 못 내"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 아파트 단지 모습. 뉴스1

정부가 주택시장 경착륙을 막기 위해 규제를 대거 풀었지만 분양시장은 잠잠하다. 경기 침체와 고금리 탓에 유망 단지도 흥행을 장담할 수 없을 만큼 미분양 우려가 커지자 건설업계는 일단 몸을 사리고 보자는 분위기다.


분양 미루는 건설사 "엄두도 못 낸다"

대구 북구 칠성동의 한 미분양 아파트에 불이 띄엄띄엄 켜져 있다. 최주연 기자

1일 부동산R114가 집계한 자료를 보면, 2월 분양 예정 아파트는 전국 20곳, 총 1만2,881가구(지난해 2월 분양실적 2만5,817가구)로 조사됐다. 지난해 12월 건설사 상대 설문조사에선 총 2만5,620가구가 시장에 풀릴 걸로 집계됐는데, 두 달 만에 분양 예정 물량이 49% 급감한 것이다. 지난달 실제 분양실적도 예상치(2만1,989가구)의 절반에 못 미치는 1만 가구 남짓에 그쳤다. 지난해 1월(4만6,347가구)과 비교하면 75% 급감한 수치다.

정부는 1.3 대책을 통해 분양시장 3대 규제인 '전매·실거주·분양가' 규제를 한 번에 풀었다. 이로써 최대 10년인 수도권 전매 제한 기간은 최대 3년(최소 6개월)으로 줄고, 지방은 공공택지(1년)와 광역시(6개월)를 제외한 지역의 전매 규제가 모두 폐지됐다. 수도권 분양가상한제도 서울 강남 3구와 용산구 4곳을 제외한 지역은 모두 해제돼 분양가 산정이 자유로워졌다.

그런데도 서울에선 재개발 단지, 지방은 대단지 아파트 위주로 분양 일정이 줄줄이 연기되는 추세다. 1월 분양 단지 80%가 청약 미달 사태를 겪는 등 시장 침체가 워낙 심하기 때문이다. 광주의 중견건설사 대표는 "프로젝트파이낸싱(PF) 금리가 치솟아 매달 이자만 수백억 원을 감당해야 하는데 미분양으로 계약금이 안 들어오면 바로 자금난에 부닥친다"며 "현재 분양은 엄두도 못 낸다"고 말했다.


2월 수도권 분양 집중… 서울 첫 일반분양

이번 달엔 전체 물량의 67%가 수도권에 풀린다. 경기(6,792가구), 경남(1,593가구), 인천(1,146가구), 부산(886가구) 순이다. 경기에선 평택시 현덕면(힐스테이트평택화양·1,571가구), 수원시 지동(수원성중흥S-클래스), 화성시 신동(e편한세상동탄파크아너스) 등 남부 지방 중심으로 10개 아파트가 입주자 모집에 들어간다. 서울은 올해 첫 일반분양 물량이 나온다. 은평구 역촌동 '센트레빌아스테리움시그니처'로 752가구 중 454가구가 일반분양 몫이다.

이달 분양을 준비 중인 건설사들은 초긴장 상태다.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어떤 마케팅을 해도 계약률을 끌어올리기 어려워 고민이 크다"며 "자잿값은 오르는데 분양가는 올리기 어려운 탓에 분양을 미루는 재개발 사업장이 많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김동욱 기자 kdw1280@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