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어지면 피곤한 트레이드설, 최지만과 김하성 본질적 차이는?

노재형 2023. 2. 1. 14: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피츠버그 파이어리츠 최지만이 또 트레이드될 것인가.

ESPN은 '피츠버그는 올해 다른 최하위권 팀들보다 조금은 나은 성적을 올린다는 예상이 나오지만, 플레이오프 경쟁을 할 수 있는 팀이 아니다'며 '팜 강화를 꾀하고 있는 피츠버그는 레이놀즈를 내주는 대가로 2명의 유망주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오는 7월 트레이드 시장에서 뜨거운 상품으로 각광받을 것'이라고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피츠버그 파이어리츠 최지만이 또다시 트레이드설에 휘말렸다. AP연합뉴스

[스포츠조선 노재형 기자]피츠버그 파이어리츠 최지만이 또 트레이드될 것인가.

ESPN은 지난 31일(이하 한국시각) '30개팀에 대한 2023년 트레이드 예상'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피츠버그가 올여름 트레이드 마감(8월 1일)을 앞두고 내보낼 가능성이 높은 선수로 브라이언 레이놀즈를 꼽았다.

2019년 메이저리그에 데뷔한 레이놀즈는 풀타임 3시즌을 마친 외야수로 지난해 타율 0.262, 27홈런, 62타점을 올린 피츠버그의 간판타자다. 2021년에는 타율 0.302, 24홈런, 90타점, 93득점을 마크, 정상급 타자로 올라섰다.

ESPN은 '피츠버그는 올해 다른 최하위권 팀들보다 조금은 나은 성적을 올린다는 예상이 나오지만, 플레이오프 경쟁을 할 수 있는 팀이 아니다'며 '팜 강화를 꾀하고 있는 피츠버그는 레이놀즈를 내주는 대가로 2명의 유망주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오는 7월 트레이드 시장에서 뜨거운 상품으로 각광받을 것'이라고 했다.

레이놀즈는 2년 1350만달러 계약이 올해 말 끝나면 몸값이 치솟을 공산이 크다. 연평균 1000만달러 이상의 몸값을 받는 거물로 성장한다면 피츠버그가 감당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올 여름 톱 유망주를 확보하기 위해 내다팔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ESPN은 '올해 43세인 리치 힐도 있다. 그는 여전히 효과적이고, 최근 2년간 평균자책점 4.04를 기록했다. 올시즌 잘 던지더라도 그의 가치는 크지 않다. 피츠버그가 그를 내보내고 낮은 수준의 유망주를 바랄 수 있을 것'이라며 '좌완 불펜 얄린 가르시아 뿐만 아니라 카를로스 산타나와 최지만도 이런 부류로 묶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지만은 이번 달 중순 연봉조정 청문회를 통해 올해 연봉이 확정된다. 최지만은 540만달러, 피츠버그는 465만달러를 제출했다. 청문회 이전 타결 가능성도 있다. 어느 경우든 465만달러 이상은 확보한 것이나 다름없다. 그런데 올해 말 FA 자격을 얻는 최지만의 몸값은 올시즌 활약에 따라 1000만달러 선으로 오를 수도 있다. 피츠버그가 몸값을 감당하기 어렵다고 판단하면 트레이드 대상자로 분류된다는 얘기다.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김하성이 이번 오프시즌 트레이드될 가능성은 낮아졌다. AP연합뉴스

샌디에이고 파이드리스 김하성도 이번 오프시즌 내내 트레이드설에 휘말렸다. 샌디에이고가 거물급 유격수 잰더 보가츠를 영입하면서 입지가 불안해졌기 때문이다. 샌디에이고는 일단 김하성을 2루, 기존 2루수 제이크 크로넨워스를 1루수로 연쇄 이동시키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그러나 또다른 유격수 페르난도 타티스 주니어가 4월 말 복귀하기 때문에 샌디에이고가 김하성을 트레이드 카드로 활용해 선발투수를 구하려 할 것이라는 게 트레이드설의 요지다. 실제 김하성의 트레이드 행선지로 보스턴 레드삭스, 마이애미 말린스, 애틀랜타 브레이브스로 거론됐다. 이 세 팀이 최근 유격수와 2루수 해법을 찾으면서 김하성 트레이드설은 가라앉았다.

하지만 트레이드는 시장 상황과 무관하게 이뤄지는 경우도 많다. 김하성의 트레이드 소문이 불거질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트레이드설은 선수에게 유쾌한 일이 아니다. 구단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기회 측면에서 팀을 옮기는 것도 나쁘지 않다. 최지만과 김하성의 트레이드 소문은 본질적으로 차이가 있다. 최지만은 높아질 몸값을 피하려는 피츠버그 구단의 '전략적' 선택에 따른 것이고, 일종의 '잉여 전력'으로 분류되는 김하성은 구단이 다른 취약 부분을 보강하는 카드로 삼을 만하다는 것이다.
노재형 기자 jhno@sportschosun.com

Copyright © 스포츠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