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인도, '中견제' 의기투합…반도체·5G 등 핵심기술협력 강화

임종윤 기자 2023. 2. 1. 07:30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미국과 인도가 국방 및 첨단기술 분야에서 손을 잡고 본격적인 대(對) 중국 견제를 위한 협력 강화에 나섰습니다.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현지시간 31일 워싱턴 DC에서 아지트 도발 인도 국가안보보좌관과 고위급 회담을 하고 국방 및 정보기술(IT) 분야에서 양국 협력 강화를 골자로 한 핵심첨단기술 구상(iCET)을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의 방산업체인 GE가 미국 정부의 허가 하에 인도와 제트 엔진을 공동 개발, 국방 우주 분야에서 공조에 나설 방침이며 반도체 공급망 다변화를 위해 인도의 반도체 메이커들과 협력도 강화할 예정입니다.

미국은 화웨이에 인텔과 퀄컴을 포함한 미국 기업들의 부품 공급을 전면 차단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을 포함해 5G와 인공지능, 반도체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 중국에 대한 견제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중국에 대한 견제라는 측면에서 이해관계가 일치하는 두 나라가 핵심 분야에서 공조를 한층 강화하고 나선 만큼 한국을 포함한 인도·태평양 동맹국으로 동조 압박이 이어질 가능성 역시 배제하기 어렵습니다.

이번 회담은 지난해 5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의 정상회담에 따른 후속 조치 성격으로 미국은 그간 중국의 부상하는 위협을 견제하기 위해 막대한 잠재력을 가진 인도를 동맹으로 끌어들이는 데에 각별한 공을 들여 왔습니다.

조 바이든 행정부는 출범 이후 인도·태평양 역내 안보의 핵심축으로 쿼드(Quad·미국·호주·인도·일본의 안보 협의체)를 설정했고 경제 동맹 성격인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에 인도를 참여시키기 위해 일괄 참여 대신 분야를 나눠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여러 노력을 기울인 게 대표적인 예입니다.

심지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에도 인도는 러시아산 원유를 공급받고 심지어 공동 군사훈련까지 참여했지만, 바이든 행정부는 이 같은 노선을 사실상 묵인하기까지 했습니다.

이번 협력 강화는 인도가 러시아와 일부 거리두기에 나서는 한편 중국의 위협이 한층 커지는 것이 직접적 배경이 됐다고 미국 언론들은 분석했습니다.

SBS Biz 기자들의 명료하게 정리한 경제 기사 [뉴스'까'페]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