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귀농귀촌 3만 시대…“일자리 부족 여전”

임서영 2023. 1. 31. 22:0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춘천] [앵커]

강원도가 연간 귀농·귀촌 인구 3만 명 시대에 접어든지 올해로 3년째를 맞았습니다.

하지만, 귀농 귀촌인들은 농촌에서의 삶이 아직도 생각과는 많이 다르다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뭐가 제일 힘든지 임서영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나무 판에 조각칼로 글자를 새깁니다.

칠순을 넘긴 김태기 씨의 주된 수입원입니다.

2005년 서울에서 횡성으로 이사를 왔습니다.

아들, 딸, 손주까지 다 데려와 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서울 생활을 완전히 정리하진 못했습니다.

조각작품을 팔려면 서울로 올라가야하기 때문입니다.

[김태기/귀촌인/횡성군 공근면 : "만족을 했으니까 이제 뭐 자식들도 불러왔고, 수입 관계 때문에 서울에 뭐 가끔 한 달에 한두 번, 뭐 두세 번 이렇게 갔다 왔다 할 일이 있고."]

젊은 귀촌인들이 겪는 경제적 어려움은 더 큽니다.

농사 말고는 마땅한 일자리를 찾기 힘듭니다.

결국, 본인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창업으로 내몰리는 경우까지 생겨나고 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의 귀농·귀촌 실태조사에서도 농촌 정착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소득문제가 꼽혔습니다.

[김영우/귀촌인/창업 준비 : "농공단지랑 연계된 그런 일자리라든지 그런 것만 위주로 돼 있기 때문에 그런 것들이 저랑은 많이 안 맞았고, 그러다보니 일자리를 찾는 데는 당연히 어려운 부분들이."]

귀농·귀촌 정책을 지금처럼 지역의 시각에서 인구 늘리기로 끌고 가는 게 아니라 귀농 귀촌인들의 입장에서 이들의 안정적인 정착을 돕는 쪽으로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진기엽/횡성군귀농귀촌센터장 : "5년 동안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게끔 하고, 이분들이 안정적으로 횡성에서 정착해서 아름답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무엇보다 굳이 농사가 아니더라도 농촌에서 먹고 살 수 있도록 다양한 일자리를 개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임서영입니다.

촬영기자:임강수
https://news.kbs.co.kr/special/danuri/2022/intro.html

임서영 기자 (mercy0@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