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만 빼곡한데…인천 “경제자유구역 더 필요”

박준철 기자 2023. 1. 31. 21:3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외국 기업은 거의 없고 아파트만 빼곡하게 들어서 있는 송도국제도시의 모습.
경제청 “산업용지 부족해”
강화 남단 등 4곳 지정 추진
지정 시 전국 자유구역의 60%
송도 등 외국인 인구 1.7%뿐
‘아이퍼스 힐’은 공항서 반대

인천시가 오염된 토지와 개발사업이 지지부진한 곳들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추가 지정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경제자유구역은 외국인 투자 유치가 목적이지만 인천경제자유구역의 경우 이미 신도시로 전락해 ‘아파트 경제자유구역’으로 변질했다. 추가 지정된 곳도 이 같은 전철을 밟을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31일 인천시와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강화군 화도면과 길상면, 양도면 일원 18.92㎢와 2025년 사용 종료 예정인 수도권매립지 16.85㎢, 송도유원지와 남동공단 일원 등 송도국제도시 주변 2.67㎢, 인천내항 일원 4.83㎢ 등 4곳 총 43.27㎢ 에 대해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여의도(2.9㎢)의 15배에 달하는 규모다.

인천경제청은 경제자유구역 지정에 필요한 타당성 검토와 개발계획 수립을 위해 강화 남단과 수도권매립지에 36억원, 인천내항 39억원, 송도국제도시 32억원 등 총 107억원의 용역비를 들일 예정이다.

인천경제청은 용역 결과가 완료되고, 전략환경영향평가와 사전재해 등을 거쳐 2024∼2026년쯤 산업통상자원부에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신청할 예정이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기존 경제자유지역인 송도·영종·청라 등에는 산업부지가 부족하다”며 “반도체 등 첨단기업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산업용지를 추가로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천경제자유구역은 여의도 42배 크기인 122.42㎢(3704만평)이다. 이는 광양만권 59.57㎢, 부산·진해 50.95㎢ 등 전국 9개 경제자유구역 전체 면적 275.05㎢의 45%를 차지한다. 강화 남단 등 4곳 총 43.27㎢가 추가되면 국내 전체 경제자유구역의 60%가 넘는다.

그러나 인천경제자유구역에는 현재 아파트만 빼곡하다. 지난해 말 기준 송도·영종·청라 인구 41만9459명 중 외국인은 1.7%인 7246명에 불과했다. 경제자유구역 입주사업체 3481개 중 외국인투자사업체는 5.9%인 206개뿐이다.

특히 인천경제청은 지난해 7월 인천공항 인근 을왕산 80만7733㎡에 복합영상산업단지 ‘아이퍼스 힐(IFUS HILL)’을 조성하겠다고 산업부에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신청했지만, 심의조차 안 되고 있다. 전체 개발 면적 중 86%를 소유한 인천국제공항공사와 국토교통부가 “공항산업과 관련 없다”며 강력히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추가 지정 예정지 중 토양이 오염된 곳도 있다. 부영주택이 소유한 송도테마파크 49만8833㎡ 중 77%인 38만6449㎡는 석유계총탄화수소(TPH)·납·비소·아연·불소 등이 기준치 넘게 나왔다. 관할 연수구는 두 차례 정화 조치 명령을 내렸지만, 부영이 이행하지 않아 경찰에 고발했다. 토양오염 정화비용만 2000억원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영은 7200억원을 들여 송도테마파크를 개발하겠다고 했지만 8년째 삽도 못 뜨고 있다.

강화 남단의 경우 갯벌이나 문화유산 등이 위치해 환경·시민단체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수도권매립지는 유정복 인천시장이 임기 내 종료를 공약으로 내세웠지만 실현 여부는 불투명하다. 산업부 관계자는 “인천에서는 아직 아이퍼스 힐 이외에 지정 신청이 들어온 곳은 없다”고 말했다.

글·사진 박준철 기자 terryus@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