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가 바꾸는 세상/기고] 챗GPT 충격, 일자리·공정문제 대책 필요

안경애 2023. 1. 31. 19:4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고> 챗GPT의 충격과 우리의 대응

이성엽 고려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기술법정책센터장

지난해 12월 1일 미국 스타트업 '오픈AI'가 출시한 챗GPT(Chat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가 글로벌 IT 생태계에 충격을 주고 있다. 챗GPT는 사람의 언어를 이해하는 것은 물론 사람의 질문에 꼭 맞는 유용한 답을 하는 대화형 생성 AI로, 일반 대중에게 AI의 일상화라는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2007년 손 안의 컴퓨터 시대를 연 아이폰, 2016년 인간 바둑기사를 이긴 알파고의 충격 이후 6년 만에 챗GPT가 범용 AI 시대를 열고 있다.

챗GPT는 자연어 생성 모델로 주어진 텍스트의 다음 단어를 예측하는 학습을 하며, 이를 통해 사람이 쓴 것과 같은 의미 있는 텍스트를 생성한다. 그 성능은 매개변수의 개수에 따라 좌우되는데 2022년 11월 공개된 GPT-3.5는 1750억 개를 활용했고, 다음 버전인 GPT-4는 인간의 시냅스 개수에 맞먹는 100조 개가 될 것이라고 한다. 챗GPT 공개 후 40일 만에 일 평균 이용자가 1000만 명을 돌파할 정도로 주목받고 있지만 우려되는 점도 있다.

첫째, 챗GPT로 인해 인간의 창의성과 학습능력이 저하될 가능성이다. 챗GPT를 활용한 과제나 논문 대필이 빈번하자, 뉴욕시는 공립학교 내 챗GPT 접속을 차단했고, 세계에서 가장 권위있는 과학 학술지인 네이처와 사이언스는 챗GPT 같은 AI를 논문 공동저자로 인정하지 않는다고 선언했다. 챗GPT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경우 표절, 대필 등 저작권 침해, 기술 발달에 따른 교육 격차, 학습능력 저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둘째, 전문직의 일자리를 대체할 가능성이다. 챗GPT의 발전에 따라 인간은 논문 작성, 프로그래밍, 번역 교정, 콘텐츠 제작 등 지식 노동을 위한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게 될 것이다. 챗GPT가 MBA, 로스쿨, 메디컬스쿨 시험을 통과했다는 소식도 들린다. 이는 챗GPT가 전문 지식이 필요한 고연봉 지식노동자들의 일자리를 빼앗아갈 수 있다는 의미다. 과거 산업혁명이 인간의 육체노동을 대체했다면, 챗GPT는 인간의 정신노동을 대체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챗GPT가 얼마나 공정하고 정확한 답변을 하는지에 관한 것이다. 2021년 이전의 데이터로 학습해 2022년 이후 일어난 사건에 대해 답변할 경우 부정확할 수밖에 없다. 대규모 학습 데이터를 바탕으로 답변을 하기 때문에 잘못된 정보나 편향된 콘텐츠를 생성할 가능성도 있다.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는 이런 우려를 해소하고 인간에게 유용한 AI가 되도록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AI가 작동하도록 하는 규칙인 알고리즘을 기업 자율적으로 투명하고 공정하게 설계하도록 하는 것이다. 투명성이 절차적인 것이라면 공정성은 실체에 관한 것이다. 투명성이 적극적으로 알고리즘의 주요 기준을 공개하고 검증 받도록 하는 것이라면 공정성은 편향성을 제거하자는 소극적 의미다. 이미 EU는 AI 위험도에 따라 차등적인 행위 규제를 담은 AI 법을 발의했다. 한국에서도 알고리즘 규제 내용을 담은 법안들이 국회에 계류 중이며, 정부 차원에서도 자율규제 형태의 가이드라인 작업을 하고 있다.

AI 윤리 교육 강화도 필요하다. AI 개발자는 물론 제조자, 운용자. 이용자 모두 AI를 인간에게 유용하게 활용하려는 윤리의식을 가져야 한다. 기술 자체는 선과 악을 내포하고 있지 않으며, 사람이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더 중요하다. 결국 챗GPT 같은 초거대 AI 서비스가 일상생활에 도움을 주고 연구와 교육에 혁신적 도구로 작용하려면 AI 활용 시 발생 가능한 위험과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이제 컴퓨터, 스마트폰이 아니라 AI를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가 국가와 국민 경쟁력의 원천이 되는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 한국도 세계 3대 AI 강국이 되겠다는 비전을 수립하고 AI 분야 퍼스트 무버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데이터 마이닝 시 저작권 및 공개된 개인정보 이용에 대한 면책규정 도입 등 AI 개발의 토양이 되는 데이터 수집, 활용 관련 규제 완화를 서둘러야 할 것이다.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