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가전 세계 1위 수성 2년 연속 美 월풀 제쳐

이새하 기자(ha12@mk.co.kr) 2023. 1. 31. 17: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가 프리미엄 제품 앞세워
지난해 30조원 매출 기록
러시아 사업 철수한 월풀은
매출 줄고 10년만 영업손실

LG전자가 지난해 미국 월풀을 제치고 생활가전시장에서 세계 1위를 공고히 했다.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 분위기로 가전 수요가 줄어든 상황에서도 LG전자가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모두 월풀을 제친 것이다.

31일 가전업계에 따르면 LG전자 내 생활가전을 담당하는 H&A사업본부의 지난해 매출은 29조8955억원을 기록해 전 세계 생활가전시장 1위에 올랐다.

지난해 월풀은 196억2400만달러(약 25조4409억원) 상당 매출을 거뒀는데, LG전자 매출이 월풀보다 약 4조4500억원 많았다.

영업이익에서도 LG전자 H&A사업본부가 월풀을 웃돌았다. 월풀은 지난해 영업손실 10억5600만달러(약 1조4807억원)를 기록하며 연간 적자를 기록했다.

월풀이 연간 영업손실을 낸 것은 최근 10년 만에 처음이다.

월풀의 적자 전환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지난해 러시아 사업에서 철수하고, 전 세계적으로 가전 수요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4분기에만 월풀은 영업손실로 14억3200만달러(약 1조9465억원)를 기록했다. 반면 LG전자 H&A사업본부는 어려운 세계 경제 상황 속에서도 지난해 영업이익 1조1296억원을 달성했다.

LG전자가 선방한 이유로 업계는 '프리미엄 전략'을 꼽고 있다.

LG전자는 가전시장의 큰 축인 북미나 유럽시장을 공략해 고가 프리미엄 제품을 꾸준히 내놨다. 프리미엄 제품 수요는 경기 침체 분위기 속에서도 크게 변하지 않아 수익성 방어 요인으로 꼽힌다.

LG전자가 지난해 출시한 '업(UP) 가전'으로 소프트웨어 기능을 상향해 새 가전처럼 사용할 수 있는 전략이 먹혔다는 분석도 나온다. LG전자는 지난해부터 세탁기와 건조기, 냉장고 등 업가전 총 24종을 선보였다.

LG전자 관계자는 "업가전 출시 후 고객이 '씽큐' 애플리케이션에 제품을 연동하는 등록률이 전년보다 2배 이상 증가했고, 그중 절반의 고객이 가전을 업그레이드했다"며 "단순한 연결을 넘어 제품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한 게 인기 비결"이라고 말했다.

LG전자는 최근 10년 동안 꾸준히 월풀과의 격차를 좁혀왔다.

2017년만 해도 H&A사업본부 매출은 약 17조원으로 월풀(약 24조원)에는 턱없이 부족했다. 그러다가 2020년 매출 격차가 6000억원 수준으로 줄었고, 2021년 처음으로 LG전자가 월풀의 매출을 앞질렀다. 다만 당시엔 코로나19 유행 영향으로 물류비가 올라 영업이익은 월풀에 역전당한 바 있다.

[이새하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