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생건, 4분기 영업익 1289억…전년비 46.5% ‘뚝’

최아영 매경닷컴 기자(cay@mkinternet.com) 2023. 1. 31. 17:2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LG생활건강]
LG생활건강이 지난해 4분기 중국 소비 부진과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31일 LG생활건강에 따르면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6% 감소한 1조8078억원, 영업이익은 46.5% 감소한 1289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연간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2% 감소한 7조 1858억원, 영업이익은 44.9% 감소한 7111억원을 달성했다.

4분기에도 국내외 경기 침체와 소비 둔화가 사업 전반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영업이익은 매출 감소 영향과 경쟁심화에 따른 비용 증가, 원자재가 상승 여파에 따른 원가부담으로 감소했다.

뷰티 사업은 중국의 시황 악화와 그에 따른 소비 둔화로 면세점과 중국 현지 매출이 부진했다. 광군제에서 온라인 채널 다각화 측면으로는 의미가 있었다는 설명이다. 반면 생활용품(HDB)과 음료 사업의 경우 신제품 출시와 프리미엄 브랜드들의 판매 호조로 매출 성장을 이어갔다.

사업 부문별로 보면 뷰티 사업의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3.7% 감소한 8701억원, 영업이익은 57.7% 줄어든 792억원을 기록했다. 연간 매출은 3조 2118억원, 영업이익은 3090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27.7%, 64.7% 감소했다.

지난해 중국 광군제 행사에서 ‘후’ 브랜드가 높은 인지도를 바탕으로 틱톡, 콰이쇼우 등 신규 온라인 플랫폼에서도 1위를 달성하며 온라인 채널의 다각화 측면에서 의미있는 성과를 거뒀다. 다만 중국 내 코로나가 재확산되며 중국 현지와 면세점 등 주요 채널에서 매출이 영향을 받았다.

HDB 사업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 성장한 5265억원, 영업이익은 6.7% 감소한 189억원을 기록했다. 연간 매출은 2조 2098억원으로 전년 대비 7.4% 성장했으나, 영업이익은 1898억원으로 9.1% 감소했다.

‘닥터그루트’와 ‘피지오겔’은 디지털 미디어 활성화로 고객 접점을 확대하며 브랜드 로열티를 꾸준히 제고하고 있다. 피지오겔의 경우 지난해 출시한 ‘피지오겔 데일리뮨 디펜스 쿠션’이 연말 홈쇼핑에서 좋은 성과를 냈다.

음료 사업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8% 성장한 4112억원, 영업이익은 8.1% 감소한 308억원을 기록했다. 연간 매출은 1조 7642억원, 영업이익은 2122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0.8%, 3.7% 성장했다.

4분기는 음료 사업의 계절적 비수기지만, 지난해 11월 카타르 월드컵 영향으로 편의점과 배달 채널 등에서 탄산 음료 판매가 증가하며 매출이 성장했다. 에너지음료의 판매 호조세가 두드러지며 ‘몬스터에너지’는 매출이 29% 뛰었다.

다만 원부자재 단가 인상에 따른 원가 부담 지속으로 수익성 개선은 어려웠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