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오토에버, 지난해 영업익 1천424억원…전년比 48%↑

박진영 2023. 1. 31. 16: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현대오토에버(대표 서정식)가 31일 실적 발표를 통해 지난해 매출액은 2조 7천545억원, 영업이익은 1천424억원을 기록했다 발표했다.

사업부문별 실적을 보면, 2022년 SI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8.9% 증가한 9천604 억원으로 집계됐다.

차량 소프트웨어 부문은 5천1억원의 매출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72.9% 증가했다.

현대오토에버의 지난해 실적에는 완성차 산업의 공급망 회복과 달러화의 강세가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해 SW 개발·테스트·운영 전 단계에 걸친 통합 품질 서비스 제공"

[아이뉴스24 박진영 기자] 현대오토에버(대표 서정식)가 31일 실적 발표를 통해 지난해 매출액은 2조 7천545억원, 영업이익은 1천424억원을 기록했다 발표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33%, 영업이익은 48% 증가했다.

현대오토에버 CI [사진=현대오토에버]

사업부문별 실적을 보면, 2022년 SI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8.9% 증가한 9천604 억원으로 집계됐다. ITO(IT아웃소싱) 사업 매출은 24.9% 늘어 1조 2천940억원을 기록했다. 차량 소프트웨어 부문은 5천1억원의 매출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72.9% 증가했다.

현대오토에버의 지난해 실적에는 완성차 산업의 공급망 회복과 달러화의 강세가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또 산업의 디지털 전환에 힘입어 ▲스마트팩토리 구축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고사양화 및 커넥티비티 서비스 증가 ▲북미 서비스 강화를 위한 CCS 인프라 구축 등 다양한 사업 부문에서 매출이 증가했다.

이 가운데 현대오토에버는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시대를 앞당기기 위한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올해 현대오토에버는 차량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관리와 인증에 도움을 줄 차량소프트웨어 통합개발환경 플랫폼과 제어기·도로환경을 디지털 트윈으로 구현해 낸 가상검증 플랫폼을 개발하는 등 차량 소프트웨어 모든 영역에 대한 검증 사업을 준비한다. 소프트웨어 개발·테스트·운영 전 단계의 품질 서비스 시장 선도가 목표다

엔터프라이즈 IT 사업 영역에서는 장애 대응과 비즈니스 연속성 확보를 위해 업무 연속성 계획(BCP) 체계 개선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현대오토에버는 외부의 공격으로 인한 IT서비스 장애를 사전 예방하고 끊임없이 비즈니스를 이어갈 수 있도록 그룹 내 통합 보안 운영 서비스의 적용을 확대하며, 글로벌 보안강화를 위해 엔드포인트 위협탐지 솔루션을 확대 적용한다.

현대오토에버는 올해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한 신성장 동력 발굴을 목표로 스마트팩토리, 스마트물류, 가상검증플랫폼, 테스트·검증 영역에서 글로벌 기업과의 전략적 협업 강화를 추진하며 모빌리티 기술 확보를 위해 국내외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박진영 기자(sunlight@inews24.com)

▶네이버 채널에서 '아이뉴스24'를 구독해주세요.

▶재밌는 아이뉴스TV 영상보기▶아이뉴스24 바로가기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