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창건일·김정일생일 등 2월 대형행사 줄줄이…北 도발하나

김승욱 2023. 1. 31. 06: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미, 北 핵공격 대비한 확장억제운용연습 시행도…北 신경질적 반응
북한이 2022년 연말 공개한 600㎜ 초대형방사포 북한이 2022년 12월31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6차 전원회의에서 공개한 600㎜ 초대형 방사포.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자료사진.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서울=연합뉴스) 김승욱 기자 = 새해 첫날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북측은 초대형방사포 주장) 발사 이후 '잠잠한' 1월을 보낸 북한이 정치 행사가 줄줄이 예고된 2월에 다시 무력 도발 재개에 나설 가능성이 제기된다.

2월에는 인민군 창건일(건군절·2월 8일)과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의 생일(2월 16일) 등 대형 정치행사가 이어지는 데다, 한미 양국이 북한의 핵 공격 시나리오에 대비한 '확장억제수단운용연습'(DSC TTX)을 시행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북한의 대형 정치행사와 한미의 군사훈련 일정을 고려할 때 북한이 2월에는 도발을 재개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북한, '조선인민혁명군 창건 90주년' 열병식 개최 북한이 조선인민혁명군(항일유격대) 창건 90주년인 2022년 4월 25일 저녁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열병식을 개최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자료사진.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특히 올해 75주년을 맞는 건군절을 전후해 긴장 수위가 높아질 것으로 관측된다.

북한은 5년·10년 단위로 꺾어지는 해(정주년)의 주요 기념일마다 열병식과 무력 시위 등으로 정세를 긴장시켜 체제 결속을 꾀하고 대외 메시지를 발신해왔다.

건군절 75주년을 기념하고자 북한은 이미 대규모 열병식을 준비하는 동향이 지속해서 포착되고 있다.

미국의 상업 위성들은 평양 김일성 광장과 미림비행장 일대에서 1만 명 이상의 병력과 주민, 차량 수백 대가 집결해 대규모 열병식을 준비하는 모습을 관측했다.

위성 사진에 열병식 훈련에 동원된 인원들이 '2·8', '75군' 등을 형상화한 모습이 포착돼 건군절 75주년을 기념하는 열병식으로 보인다.

북한이 열병식을 전후해 직접적인 무력 도발에 나서지 않더라도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형 무기를 공개해 긴장 수위를 끌어올릴 가능성도 점쳐진다.

북한은 이미 지난 2018년 2월 건군절 70주년 열병식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인 '화성-14형'과 '화성-15형'을 공개했으며, 2017년 4월 김일성 전 주석의 105번째 생일을 기념해 열린 열병식에서는 '화성-12형'을 처음 공개한 바 있다.

건군절에 이어지는 광명성절은 군사 행동 대신 금수산태양궁전 참배와 경축 행사 등으로 기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김 위원장이 연설을 통해 강경한 대남·대미 메시지를 내놓을 가능성도 있다.

미 전략폭격기 B-1B 한반도 전개 합동참모본부는 2022년 11월 19일 미 공군의 B-1B 전략폭격기가 한반도에 재전개한 가운데 연합공중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합참 제공.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그러나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의 움직임이 수상쩍다. 군 당국은 광명성절 계기 또는 이후에 동창리에서 대형 고체로켓 발사 가능성도 주시하고 있다.

현재 북한은 대표적인 로켓 시험장인 동창리 발사 시설 현대화 작업을 빠른 속도로 진행하고 있다.

미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의 북한전문매체 '분단을 넘어'는 지난 18일 촬영된 위성사진 분석 결과를 토대로 동창리 공사가 비약적 진전을 보이고 있으며, 시험대들은 언제라도 발사 가능한 상태라고 평가했다.

북한은 지난해 12월 이곳에서 정찰위성 시험품 운반체라고 주장하는 준중거리탄도미사일(MRBM) 2발을 발사하고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최종 단계의 중요 시험을 했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2023년 4월까지 군사정찰위성 1호기 준비를 끝낼 것"이라고 발표했다. 4월 내로 정찰위성 발사를 빌미로 한 도발에 나설 것임을 예고한 셈이다.

이밖에 남남갈등 유발과 남측 대비태세를 떠보고자 지난 연말 서울 상공에 침투한 것과 같은 무인기 도발이나 전방 지역에서 재래식 무기를 동원한 국지도발 가능성을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이런 가운데 한미 양국은 다음 달 미국에서 북한의 핵 공격 시나리오를 가정한 DSC TTX를 실시할 계획이다.

비록 병력이 움직이지 않는 도상훈련(Table Top Exercise)이지만, 북한의 핵 공격 시나리오에 대비한 훈련이라는 점에서 북한이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실제 북한 선전매체들은 한미의 확장억제 강화 움직임에 대해 '한계를 넘어선 반공화국대결망동', '호전광들의 히스테리적 발작', '대결병에 걸린자들의 말기증상' 등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여왔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31일 "2월 확장억제수단운용연습을 시작으로 한미연합훈련이 이어지게 된다"며 "북한도 내부 정치행사와 한미 훈련 일정을 고려해 2월부터는 본격적인 대응 움직임으로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kind3@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