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방식도 옵션의 하나"…`경제난` 실토한 러, 서방 제재대처 격론

박양수 2023. 1. 30. 20:5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작년 2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서방 측의 제재로 인해 경제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는 인식이 러시아 국내에서도 퍼져나간다는 징후가 보이고 있다.

러시아 국영TV는 서방의 국제 제재에 러시아가 대처하려면 쿠바·이란·북한 중 어느 나라의 경제 모델이 가장 알맞은가에 대한 토론을 최근 방영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영TV "쿠바·북한·이란 중 어느 길" 서방제재 두고 격론
"경제정책·국내자원·다민족·주변 관계, 이란이 가장 유사"
러 중앙은행, 서방제재 맞서려 데이터 공개안 정부와 논의
러시아 국영 TV 토론 올린 BBC 모니터링 기자 트윗. [트위터 캡처]

작년 2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서방 측의 제재로 인해 경제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는 인식이 러시아 국내에서도 퍼져나간다는 징후가 보이고 있다.

러시아 국영TV는 서방의 국제 제재에 러시아가 대처하려면 쿠바·이란·북한 중 어느 나라의 경제 모델이 가장 알맞은가에 대한 토론을 최근 방영했다.

영국 공영방송 BBC에서 러시아 국영 TV 모니터를 담당하는 프랜시스 스카 기자는 지난 28일 "(러시아) 국영 TV에서 오늘 중요한 토론이 열렸다"며 해당 토론 영상 일부를 트윗으로 올렸다.

영상 속의 토론회 사회자는 "서방 측의 제재에 맞서는 데는 세 가지 길이 있다. 쿠바의 길, 북한의 길, 그리고 이란의 길이다"라며 러시아의 경제 붕괴를 막기 위해 세 나라 중 어느 모델이 러시아에 가장 적합한지에 관해 패널 토론자들의 의견을 물었다.

한 토론자는 "경제 정책이나 국내 자원이라는 면에서 봤을 때 이란이 우리(러시아)에게 가장 가깝다"며 "얼마 전까지, 우리가 소련이던 시절에, 이 나라들(쿠바·이란·북한) 모두를 지원했었다"고도 지적했다.

다른 토론자는 이 의견에 동의하면서 이란과 러시아는 다민족 국가라는 점과 매우 까다로운 이웃 국가들이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는 점도 요인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토론자는 "봉쇄와 경제 제재에서 견디는 경험이 우리보다 더 많은 나라는 전 세계에 단 하나도 없다"고도 말했다.

러시아 국영 TV 프로그램에 따르면 이란은 1979년 혁명으로 기존 왕정이 폐지되고 이슬람 공화국이 들어서면서 발생한 주(駐)테헤란 미국 대사관 점거 인질사태를 계기로 미국으로부터 자산 동결과 무역 엠바고 등 제재를 받았다.

미국은 이란 상대 경제제재를 1981년에 해제했다가 이란이 국제 테러를 지원한다는 이유로 1987년에 제재를 다시 부과했다.

미국의 경제제재가 강화되자 이란은 자급자족을 강화하는 한편 은행 없이 돈을 외국과 주고받을 수 있는 결제 방법을 마련했다.

쿠바는 1990년대에 소련의 원조 덕택에 붕괴를 면했으며, 소련 붕괴 후에는 '불법으로' 럼과 시가를 수출해 제재를 견뎌냈다고 이 프로그램은 전했다.

북한은 핵무기를 개발했다는 이유로 2006년에 국제 제재를 받았으나 중국 덕택에 이를 '우회'할 수 있었다. 또 사이버 절도, 암호화폐 이전, 랜섬웨어 배포 등도 외화벌이에 썼다.

러시아의 경제적 어려움이 심해지면서 작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래 비공개로 전환된 각종 경제지표들을 전쟁 전처럼 공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국내에서 나온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익명의 취재원을 인용, "엘비라 나비울리나 러시아 중앙은행 총재가 외환보유고나 수출실적 등 주요 경제 지표를 다시 공개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보도했다.

러시아 정부는 데이터 비공개 이유를 서방의 경제 제재에 맞서기 위해서라고 설명해 왔다.

러시아 중앙은행은 지난 29일 "경제 관련 데이터 공개를 재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많은 전문가들이 이런 입장에 동의한다"면서, "회사들과 국가 경제가 제재 위험 탓에 겪는 약점을 늘리는 지표들을 제외하고 정보 공개를 재개하는 방안을 정부 당국과 논의중"이라고 밝혔다. 박양수기자 yspark@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