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00만원짜리 수소차 반값 보조금에…환경단체가 반대한 이유

정은혜 2023. 1. 30. 18:2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10월 서울시청 서소문청사 수소충전소에서 직원이 수소차를 충전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친환경 정책의 일환으로 수소차 지원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환경 단체들은 “수소차는 무늬만 친환경”이라며 수소차 보급 확대에 비판적이지만, 환경부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DNC) 달성을 위해서는 멀리 보고 가야 할 길”이라는 입장이다.

환경부는 올 한해 총 1만6920대의 수소차에 보조금을 지급할 예정이라고 30일 밝혔다. 승용차 1만6000대, 버스 700대, 화물·청소차 220대가 대상이다. 수소 승용차에 대한 국고보조금은 2250만원으로 책정됐다. 여기에 지자체별로 1000만 원 안팎의 보조금을 추가로 준다. 예를 들어 부산시에서 현대자동차의 수소 승용차인 ‘넥쏘’를 구입하면 국고보조금과 지자체 보조금을 더해 총 335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넥쏘 판매 가격(6765~7095만원)의 절반에 가깝다.

상업용 수소차(버스, 화물·청소차) 지원 규모도 지난해(340대)의 3배에 가까운 920대로 늘었다. 환경부 고위 관계자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다각도로 청취한 결과 수소차가 대형 차종에서 특히 에너지 효율을 발휘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수소차 보조금 전기차 대비 최대 7.7배


지난해 10월 국내 첫 이동형 수소충전소인 서울 중곡동의 'H 광진 무빙 스테이션'에서 직원이 수소전기차인 넥쏘에 수소를 충전하고 있다. [연합뉴스]
수소차 국고보조금은 전기차 대비 3.2배~7.7배에 달한다. 무공해차 통합누리집(ev.or.kr)에 따르면 승용 및 초소형 전기자동차의 국고보조금 지원 금액은 차종에 따라 290만원~700만 원 선이다. 지자체도 비슷하다. 지난해 서울시의 전기차 보조금은 200만원, 수소차 보조금은 1000만원이었다. 환경부 관계자는 “수소차는 전기차보다 개발 단계가 초기이고 수요가 적기 때문에 정부와 지자체가 보조금을 더 많이 책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국내에 보급된 수소차 수는 누적 2만9733대로 3만대에 도달했다. 2018년까지 908대에 불과했지만, 환경부의 공격적인 보조금 정책으로 해마다 보급대 수가 꾸준히 늘어 지난해 처음으로 한해 보급 규모가 1만대(1만256대)를 넘었다.

정부는 수소차 보급과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지만, 환경 단체들은 수소차 도입에 대해 비판적이다. 현재까지 수소 생산 과정이 친환경적이지 않고, 가장 친환경적으로 평가받는 그린수소(Green Hydrogen)가 상용화되더라도 생산 과정에서 에너지 효율이 급격히 떨어지기에 공적 자금 투입 대비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환경단체가 친환경 수소차 보급 반대하는 이유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현재 전 세계 수소의 96%는 천연가스를 개질해 만든 그레이수소(Gray Hydrogen)다. 생산과정에서 상당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한다. 화학식은 ‘CH4(천연가스) + 2H2O(물) → CO2(이산화탄소) + 4H2(수소)’로 수소가 만들어지는 만큼 이산화탄소도 발생하는 구조다. 전 과정 배출량을 보면 약 1㎏의 수소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10㎏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것으로 추산된다.

그레이수소의 단기적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블루수소(Blue Hydrogen)는 그레이수소 생산 방식에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CSS) 기술을 적용해 생산한 수소를 말한다. 1㎏의 수소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4~5㎏가량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하지만 환경단체들은 “블루수소가 그레이수소의 88~91%의 온실가스를 배출한다”는 2021년 미국 연구진의 보고서를 근거로 블루수소의 탄소저감 효과는 그레이수소 대비 10%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국내 환경 단체인 기후솔루션은 지난해 9월에 발표한 보고서에서 정부의 ‘수소경제’ 추진에 따라 추가로 발생하는 온실가스는 2030년 연간 최대 3000만t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무공해 수소로 꼽히는 그린수소도 기술적 한계로 인해 대안이 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국제 환경단체인 그린피스는 “수전해 기술로 물을 분해해 수소를 만든 뒤 이를 전기 에너지로 바꾸는 과정에서 에너지 손실이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수소차의 에너지 효율은 41% 수준으로 전기차(86%)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고 주장했다.


환경부 “그린수소 개발 중, 멀리 보고 가야 한다”


박연재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 [뉴스1]
국내외 환경 단체의 이런 주장에 대해 환경부는 “그래도 가야 할 길”이라고 답했다. 박연재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2030 NDC를 달성하려면 수송 부문에서 탄소 절감을 많이 해야 하는데 무공해차인 수소차 보급 없이는 달성하기 어렵다”며 “안정적 수소 공급을 위해 그레이수소를 활용하는 부분이 있는데, 제주도 등지에서 이미 남는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방안, 유기성 폐자원에서 나오는 수소 메탄가스 정제 기법을 통한 블루수소 생산 방안 등을 이미 많이 연구하고, 실천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은혜 기자 jeong.eunhye1@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