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K컬처와 마셜아츠의 선봉 태권도, 그 시작과 성공

2023. 1. 30. 16: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83) 이충호 < 태권, 그 무극의 길 >
Getty Images Bank


<태권, 그 무극의 길>은 ‘2022 무예소설문학상 대상 수상작’이다. 그동안 나온 무예 소설은 역사적 전쟁이나 무사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됐다. 이 소설은 우리나라 국기인 태권도의 태동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과정을 현대 인물 이준구를 중심으로 펼쳤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이충호 작가는 무예를 ‘자연의 이치를 배우고 그것을 이용하는 방식’이라고 정의했다. 사료를 발굴해 한 줄 한 줄 역사서를 쓰는 마음으로 집필했다는 작가는 “우리의 전통 무예인 태견의 뿌리에서 싹을 틔워 세계 마셜아츠의 정상에 우뚝 선 위대한 태권도의 역사를 오래전부터 소설로 쓰고 싶었다”고 소회를 밝혔다.

이충호 작가의 이력을 살피다 보면 강호를 평정한 무림의 고수가 스르륵 떠오른다. 고희를 바라보는 나이에 대학에서 강의하며 지난한 태권도 역사를 기록했다는 점에서 우선 놀라게 된다. 단어 암기의 신기원을 이룬 <영단어 자동연상암기법>의 저자이기도 한 이충호 작가가 고등학교 영어교사로 재직하면서 시, 소설, 수필, 평론 당선이라는 등단 그랜드슬램을 달성했다는 사실도 경이롭다. 정년퇴직할 때까지 끊임없이 작품을 발표해 한국소설문학상, 오영수문학상, 한국해양문학상, 서울시인상, 대한민국예술문화대상 등 수많은 상을 받으며 한국문인협회, 국제펜클럽,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등 다양한 협회에서 활동했다. 그가 흥사단 세계빈민돕기운동 대표로 활약한 사실까지 알고 나면 ‘롤모델로 삼기에 벅찬 인물’이라는 평가에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미국 심장부에 태권도를 심다

<태권, 그 무극의 길>이 무예 소설이자 다큐멘터리 소설인지라 책을 읽는 가운데 태권도를 비롯한 세계 마셜아츠에 대한 다양한 지식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다. 소설 주인공은 2018년 8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난 이준구 선생으로, 미국을 비롯한 세계에 태권도를 알린 인물이다. 1962년 5월 텍사스주립대 4학년이었던 이준구는 ‘국방부 육군성에 무술사범이 필요하니 내방해달라’는 전갈을 받는다. 대학에서 어렵게 태권도 클럽을 개설해 많은 학생을 가르친 일이 소문나 펜타곤에서 연락이 온 것이다. 놀랍고 기쁜 소식에 친구 차를 얻어타고 국도를 달려 어렵사리 도착했을 때 그를 초청한 담당자가 며칠 사이 백악관으로 자리를 옮겨버린 상황이었다.

낯선 곳과 돈 한 푼 없는 상태라면 누구나 의기소침해질 수밖에 없다. 이준구는 절망을 안고 텍사스로 돌아가기보다 “이 거대한 힘의 나라 심장부에 태권도란 나무를 심어보자!”라고 외친 뒤 대사관을 찾아가 도움을 요청한다. 400달러를 빌려 워싱턴에서 체육관을 연 뒤 일본 무예 가라테가 큰 인기를 누리는 미국 땅에 당당히 태권도의 위상을 세우기로 결심한다. 이 소설은 주인공이 강한 정신력으로 각종 난관을 뚫고 나가는 모습을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읽을 만한 가치가 있다.

세계적 스타들이 빠져든 태권도

바닥을 다져가며 한 단계씩 도약하는 바탕에는 태권도로 단련된 이준구의 도전정신이 있었다. 1965년 7월 제임스 클레버랜드 하원의원 집에 강도가 들어 의원이 부상을 입고 돈을 강탈당한 일이 벌어졌다. 뉴스를 접한 이준구는 클레버랜드 의원에게 호신용으로 태권도를 가르쳐주겠다고 제안한다. 몇몇 의원이 수련을 받자 주요 신문이 보도했고, 그 일을 계기로 미국 주류사회에 태권도가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이후 수련이 이어지면서 400명 넘는 미국 의원이 태극기를 바라보며 태권도를 익혔다. 이소룡, 무하마드 알리, 아널드 슈워제네거 같은 세계적인 스타들이 이준구에게 태권도를 배운 일화도 놀라움을 준다.

이 책에는 태권도 정신에서부터 태견이 태권도라는 이름으로 정착되는 과정과 올림픽 종목으로 채택되기까지의 험난한 여정이 잘 기록돼 있다. 현재까지 세계 150개 회원국에서 6000만 명 넘는 사람이 태권도를 수련하고 있으며 그 정신을 생활철학으로 삼고 있다. K팝부터 K뷰티까지 세계가 온통 우리 문화에 열광하고 있는데 세계시장에 가장 먼저 진출한 K컬처는 단연 태권도였다.

이근미 작가

<태권, 그 무극의 길>을 읽으면 너무 친숙해서 잘 아는 운동이라고 생각한 태권도를 너무 모르고 있었다는 걸 새삼 깨닫게 된다. 아울러 태권도가 세계 마셜아츠의 선봉이 되기까지 많은 사람이 엄청난 노력을 기울였다는 점에 감동하며 감사하게 된다.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