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제2서해대교 ‘민자’ 추진

조한필 기자(jhp@mk.co.kr) 2023. 1. 30. 11:3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당진∼광명 고속도로’도 속도 높여
김태흠 충남지사(왼쪽)가 지난해 11월 21일 충남도청을 방문한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지역 7개 현안에 대한 지원을 요청한 뒤 악수하고 있다 [자료=충청남도]
충청남도가 서해안의 또 다른 대동맥이자 최우선 과제로 추진 중인 ‘베이밸리 메가시티’의 핵심 교통망이 될 ‘제2서해대교’ 건설 추진에 행정력을 모으고 있다.

제2서해대교를 포함한 ‘당진∼광명 민자고속도로’ 적격성 조사 통과를 넘어 빠른 건립을 위해 대정부 건의 활동 등을 강화할 계획이다.

충남도에 따르면 오는 2033년까지 3조6000억원을 투입해 당진시 송악읍 서해안고속도로 송악분기점(JCT)에서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 평택~파주고속도로 남광명분기점까지 61.4㎞에 고속도로를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도내 구간은 9㎞에 달하며 제2서해대교로서의 기능을 갖고 국내 최장을 기록하게 될 6945m 규모의 해저터널을 계획에 담고 있다.

이 고속도로는 도가 2021년 3월 착수한 제2서해대교 사전 타당성 조사 용역과 맞물려 추진됐다.

충남도는 같은 해 12월까지 9개월 동안 진행한 용역을 통해 제2서해대교 최적의 노선과 건설 방식(해저터널)을 찾고 지난해 1월 용역 결과 발표를 통해 제2서해대교 건설 추진을 공식화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4월에는 제2서해대교가 대통령 지역 공약에 반영되고 같은 해 6월에는 민선8기 힘쎈충남 공약에 포함했다.

충남도는 제2서해대교가 교통 분산을 통한 서해대교 상습 정체 해소, 서해대교 통행 제한 시 대체 경로 활용, 당진~아산 고속도로 연계성 향상 등을 위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2020년 기준 서해대교 1일 평균 통행량은 8만9329대로 이미 포화 상태이며 주말이나 피서철에는 서해대교 통과에만 1~2시간이 소요되는 등 교통 체증이 가중되고 있다.

서해대교 차량 전면 통제는 △2006년 10월 29중 추돌사고 발생 △2015년 12월 교량 케이블 화재 발생으로 각각 1일과 16일 동안 진행된 바 있다.

충남도는 또 제2서해대교가 충남 북부권과 경기 남부권을 아우르는 아산만 일대를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수소경제 등 대한민국 4차산업을 선도하는 글로벌 메가시티로 육성한다는 민선 8기 핵심 과제인 베이밸리 메가시티 건설도 뒷받침 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제2서해대교를 포함한 당진~광명 고속도로 민자 사업은 도가 추진하는 용역 기간중인 2021년 7월 민간 기업이 국토교통부에 제안하며 표면화됐다.

충남도는 당시 국가 재정 사업과 민간 투자 사업 방식을 동시 추진하기로 정했고 현재는 당진~광명 민자고속도로가 제2서해대교 건설에 더 유리한 선택지라고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제2서해대교를 비롯한 당진∼광명 민자고속도로는 십수 개월 동안 답보 상태를 면치 못했다.

그러던 지난해 11월 21일 도내 국토교통 분야 현안 논의를 위해 도청을 찾은 원희룡 국토부 장관에게 김태흠 지사가 당진~광명 민자고속도로 적격성 조사를 요청하며 사업 추진에 속도가 붙게 된다.

김 지사는 제2서해대교 건설 필요성을 설명하며, 민간 투자를 폭넓게 활용해 달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원 장관은 민자고속도로 노선의 긍정적인 효과에 공감을 표하며 적격성 조사 추진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국토부는 김 지사와 원 장관과의 만남 1주일 만인 같은 달 28일 기획재정부에 당진~광명 민자고속도로 적격성 조사를 의뢰했다.

이달 초에는 충청권과 가진 지역발전 협력회의를 통해 적격성 조사 결과에 따라 사업자 선정 등 후속 절차를 신속하게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와 함께 당진~광명 고속도로가 건설되면 서해대교의 만성적인 교통 혼잡을 크게 완화해 수도권과 충청권 서부의 원활한 교통 흐름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혀 적격성 조사 통과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적격성 조사는 민자사업의 경제성 확보뿐만 아니라 재정-민간 시행 투자를 비교해 추진 주체를 결정하는 절차이며 당진∼광명 민자고속도로에 대한 조사는 현재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진행하고 있다.

충남도는 적격성 조사 조속 통과를 위해 경기도, 당진시와 힘을 모아 민자 추진이 확정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대정부 건의를 해 나갈 계획이다.

충남도 관계자는 “민자고속도로는 행정 절차 간소화로 비교적 건설 추진이 빠르고 통행료는 재정 사업으로 건설한 일반 고속도로의 1.1배를 넘을 수 없어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며 “적격성 조사 통과와 고속도로 조기 건설을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