렘펠 한국지엠 사장 "올해 흑자 달성 자신… 연내 정통 아메리칸 차량 6종 출시"

김창성 기자 2023. 1. 30. 11: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효율성 증대, 경영정상화 속도… 한국사업의 지속가능한 미래 위한 청사진 제시
새로운 쉐보레 전략 브랜드로 내수시장 공략… 2025년까지 전기차 10종 도입
로베르토 렘펠 한국지엠 사장이 올해 흑자 달성을 자신했다. /사진=김창성 기자
로베르토 렘펠 한국지엠 사장이 올해 사업 효율성 증대를 통한 경영 정상화에 속도를 내 흑자전환을 달성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연내 정통 아메리칸 차량 6종을 선보이고 오는 2025년까지 전기차 10종을 도입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렘펠 한국지엠 사장은 3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서울에서 '더 뉴 비기닝, 더 뉴 제너럴 모터스'(The New Beginning, The New General Motors) 기자간담회를 열고 한국에서 지속 가능한 미래 기반 구축을 위한 2023년 사업 청사진을 제시했다.


한국사업 지속가능성 추구… 고객 중심 전략 강조


이날 GM이 밝힌 2023년 주요 사업 전략은 ▲2023년 차세대 글로벌 신제품의 전 세계 출시 ▲내수시장에 새로운 쉐보레 브랜드 전략 도입 ▲GMC 도입을 통해 확대되는 멀티브랜드 전략 ▲정통 아메리칸 스타일의 차량 6종 국내 출시 ▲얼티엄 기반의 첫번째 전기차 연내 출시로 전기차 포트폴리오 확장 ▲프리미엄 고객 서비스 강화 ▲미래 모빌리티 기반 새로운 고객 경험 확대 등이다.

간담회는 실판 아민 GM 수석 부사장 겸 해외사업부문(GM International) 사장의 영상 메시지를 시작으로 진행됐다.

아민 사장은 "제너럴 모터스는 자동차 제조사에서 플랫폼 혁신 기업으로 변화하고 있다"며 "6년 전 발표된 트리플 제로(Triple Zero) 비전을 기반으로 다양한 가격대, 스타일을 갖춘 포괄적인 전기차(EV) 포트폴리오를 통해 모두에게 지속가능한 미래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GM이 한국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개선하기 위해 과감한 조치를 취했으며 고객 중심의 사업 전략을 펼치고 있다"고 강조했다.
GM이 올해 국내시장에 정통 아메리칸 차량 6종을 선보인다. 사진은 로베르토 램펠 한국지엠 사장. /사진=김창성 기자
그는 "세계 시장에서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가 거둔 괄목할 만한 성공에 이어 차세대 글로벌 신제품 역시 이미 미국에서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며 "한국에서도 또 하나의 성공모델이 될 것"이라고 확신했다.
아민 사장은 연내 출시될 차세대 글로벌 신제품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GM 사업 효율성 증대·브랜딩 전략·EV 포트폴리오 확장 및 탁월한 고객경험 제공이라는 4가지 핵심 전략을 기반으로 올해 사업을 전개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흑자달성 자신감… 네가지 핵심전략 보니


실판 아민 사장의 영상 메시지에 이어 간담회 무대에 선 로베르토 렘펠 사장은 올해 GM의 네가지 핵심 사업 전략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우선 비용 최소화, 생산 최대화를 통해 사업의 효율성 증대에 집중한다. 차세대 글로벌 신제품,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 1분기 전 세계 시장 출시를 통해 강력한 글로벌 수요 충족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2분기 내 부평·창원·보령 공장의 생산능력을 연간 50만대 수준으로 극대화하고 지난 2018년 약속한 경영정상화 계획을 순조롭게 이행, 올해 견고한 재무실적을 달성한다는 전략이다.

프리미엄 세그먼트에 초점을 둔 새로운 브랜드 전략도 소개했다. 그 중심에는 정통 아메리칸 브랜드 출시가 자리한다.

2023년 쉐보레, 캐딜락, GMC 등 브랜드 전반에 걸쳐 6종의 신차 및 부분변경 모델을 출시한다.

메인스트림 제품의 입지를 강화하고 고객의 선택의 폭을 넓히기 위해 프리미엄, 럭셔리 세그먼트에 새로운 시장 입지 창출, 고객에게 '정통 아메리칸 차량 경험'을 확대한다는 전략.

연내 얼티엄(Ultium·GM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및 모터 아키텍처) 기반의 전기차 도입 등 EV 포트폴리오도 늘린다.
GM이 한국사업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사진은 로베르토 램펠 한국지엠 사장. /사진=김창성 기자
얼티엄 플랫폼 기반의 첫 전기차인 캐딜락 리릭(LYRIQ)은 올해 국내 출시 예정이다. 오는 2025년까지 10종의 전기차 국내 출시 계획에 따라 얼티엄 기반 전기차를 추가 도입할 방침이다.

마지막은 탁월한 고객 경험 제공이다. 동서울서비스센터 재건축 및 400여 개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해 수입차시장에서 프리미엄 고객 서비스 향상에 초점을 맞춘다. 에이씨델코(ACDelco)와 온스타(OnStar) 서비스 개시를 통해 프리미엄한 고객 경험 확대에 나선다.

렘펠 사장은 "GM은 올해 야심찬 계획을 갖고 있으며 이미 성장을 위한 기반을 확실하게 마련했다"며 "올해 흑자전환과 이후 지속가능한 성장을 달성할 준비가 돼 있다"고 자신했다.


고객경험 확대에 집중


이어진 패널 세션에서는 윤명옥 홍보부문 전무, 정정윤 최고마케팅책임자, 카를로스 미네르트 영업·서비스 부문 부사장, 채명신 디지털 비즈니스팀 상무가 참석해 램펠 사장이 설명한 고객 중심 비즈니스 역량 강화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이들이 내놓은 올해 GM의 혁신적 고객 경험 확대 전략은 크게 세가지다.

우선 GM 브랜드를 통합해 정통 아메리칸 브랜드로 재구축 한다. 글로벌 3개 브랜드(쉐보레, 캐딜락, GMC)를 통해 멀티 브랜드 전략을 강화하고 고객의 브랜드 경험을 재정의하는 것이 핵심이다.

쉐보레의 경우 새 브랜드 캠페인 'BE CHEVY'를 이미 시작했으며 GM의 핵심 제품을 한 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통합 브랜드 하우스는 상반기에 선보인다.

프리미엄 고객 서비스도 강화한다. 온라인 차량 판매를 늘리고 수입차 브랜드 중 최대 규모인 400여 개 서비스네트워크를 운영한다. 프리미엄 고객 서비스 향상을 위해 직영정비사업소인 동서울서비스센터를 신축한다.

1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글로벌 애프터마켓 부품 및 정비 서비스 네트워크 에이씨델코를 도입, GM 브랜드 이외의 타 브랜드 수입차 보유 고객 차량 정비 서비스의 편의성도 향상시킨다.
GM이 오는 2025년까지 전기차 10종을 국내에 도입한다. 사진은 로베르토 램펠 한국지엠 사장. /사진=김창성 기자
글로벌 커넥티비티 서비스 온스타도 국내에 도입한다.

국내 고객의 디지털 경험 확대를 위해 '디지털 비즈니스팀'도 신설한다. 26년의 기술력을 보유한 글로벌 커넥티비티 서비스 온스타를 연내 도입한다.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차량 상태 확인 및 원격 제어가 가능하며 서비스 범위는 순차적으로 확대된다.

정정윤 최고마케팅책임자는 "GM이 진정한 아메리칸 브랜드라는 점을 강조하며 국내 고객을 공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카를로스 미네르트 부사장은 "고객들과의 모든 접점, 차량 구매, 배송, 서비스까지 전체 여정을 고객들의 관점에서 즐겁고 의미 있는 경험으로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채명신 상무는 "이제 자동차는 단순 교통수단이 아니라 움직이는 모바일 플랫폼"이라며 "온스타는 GM의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 기술과 함께 디지털 비즈니스를 확장하기 위한 강력한 기반"이라고 강조했다.

이밖에 GM은 이날 행사에서 한국 사업의 재무전망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도 내놨다.

에이미 마틴 최고재무책임자는 "지난해는 지속적인 비용 절감, 수익성 있는 글로벌 차량 라인업의 확장, 환율 효과 등을 통해 재무실적에서 의미 있는 진전을 이뤄냈다"며 "이를 통해 손익분기점을 넘길 것으로 예상하며 올해도 재무실적에서 긍정적인 흐름이 지속될 것"이라고 낙관했다.

김창성 기자 solrali@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