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서울서만 6300가구 입주… 전셋값 ‘도미노 하락’

신수지 기자 2023. 1. 30. 10:3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다음달 서울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입주물량이 급증하면서 전셋값 하락세가 심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30일 직방에 따르면, 2월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은 전년보다 67% 많은 2만3808가구로 집계됐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이 전년보다 98% 많은 1만5206가구, 지방은 30% 많은 8602가구가 입주할 예정이다.

수도권에서는 서울(6303가구), 경기(5029가구), 인천(3874가구) 순으로 입주 물량이 많다. 특히 서울은 정비사업이 완료된 매머드급 단지 입주가 진행돼 연내 가장 많은 공급이 예정돼 있다. 서울 강남구 개포동 ‘개포자이프레지던스’ 3375가구가 2월 말부터 입주를 시작하고, 서울 동작구 흑석동 ‘흑석리버파크자이’ 1772가구도 비슷한 시기 입주가 시작된다.

입주물량이 한꺼번에 쏟아지면서 개포동과 흑석동 일대 전세가격 하락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이날 기준 개포자이프레지던스 온라인 전세 매물은 1297건으로 전체 가구의 3분의 1을 넘는다. 매물이 쌓이면서 전셋값은 갈수록 내리는 추세다. 지난해 9월 15억원을 넘던 이 단지 전용면적 84㎡ 전세 호가는 9억원까지 뚝 떨어졌다.

흑석리버파크자이 역시 전체 물량의 20%인 343가구가 전세 매물로 나왔다. 이 단지 역시 작년 하반기 10억원 수준이던 전용 84㎡ 전세 호가가 5억5000만원까지 내렸다.

입주 예정 신축의 전세가격 하방이 뚫리면서 인근 기축 아파트들도 덩달아 전셋값이 내리는 도미노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2019년 준공한 개포동 ‘래미안블레스티지’는 지난해 8월 말 전용 84㎡의 전세가 15억 7500만원에 체결됐지만, 지금 나와있는 매물은 10억원부터 시작된다. 개포동 ‘주공5단지’ 전용 84㎡는 2021년 10월 9억원까지 올랐지만 지난달에는 5억원으로 하락했다.

흑석리버파크자이 인근의 흑석동 ‘롯데캐슬에듀포레’도 전용 59㎡ 전세가격이 1년 전 8억5000만원에서 최근 4억8500만원까지 급전직하했다. 직방은 “최근 전세가격 하락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입주물량 공급까지 겹치며 새 아파트가 집중되는 서울, 대구, 인천 등의 경우 매물적체, 전세수요 부족으로 전셋값 하락폭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