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재선충병 항공방제 ‘중단’…환경 피해 우려 고려

윤희일 기자 2023. 1. 30. 10:1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나무재선충병을 막기 위해 소나무에 주사액을 투입하는 모습. 산림청 제공

산림청이 소나무재선충병의 확산을 막기 위해 실시하는 항공방제를 중단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환경피해를 우려하는 국내·외에 목소리를 반영한 조치다.

산림청은 2005년부터 진행해온 소나무재선충병 항공방제를 올해부터 중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30일 밝혔다. 산림청 관계자는 “2월 중에 약제전문가 등의 최종적인 의견을 수렴한 뒤 항공방제 중지를 최종 결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소나무재선충은 스스로 이동하는 능력이 없다. 솔수염하늘소나 북방수염하늘소 등 매개곤충에 의해 전파되는 병해충이다. 이 때문에 방제는 매개충을 구제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산림청 관계자는 “매개충이 활동하는 봄부터 가을까지는 항공·지상방제를 통해 약제를 살포하고, 매개충이 월동하는 겨울철에는 감염목 등을 벌채해 파쇄·훈증·소각하는 방식으로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를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소나무재선충병을 막기 위해 항공방제를 실시할 때 주로 사용되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열의 티아클로프리드라는 약제다. 이 약제는 채소류·과실류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살충제로 그동안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최근 국내·외에서 안전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최근 유럽과 미국에서 네오니코티노이드계열 약제에 대한 사용을 제한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고, 국내에서도 약제에 대한 위해성 문제가 국회 등을 통해 제기됐다. 지난해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 약제가 꿀벌에 독성이 있을 수 있고, 인체에도 위해성이 있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산림청 관계자는 “티아클로프리드 약제가 꿀벌의 폐사나 개체 감소와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는지 등에 대해서는 면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는 입장을 갖고 있지만, 우선 이 약제를 이용한 항공방제를 중단한다는 방침을 정했다”고 밝혔다.

드론방제·지상방제·나무주사 확대

산림청은 헬기를 활용하는 대규모 항공방제는 중단하는 소규모 지역을 정밀하게 방제할 수 있는 드론방제(드론을 이용해 약제를 뿌리는 것), 지상방제(지상에서 사람이 약제를 뿌리는 것)를 실시하고, 소나무류에 직접 주입해 매개충을 없애는 나무주사를 적극적으로 실시하기로 했다.

산림청은 그동안에도 항공방제 규모를 계속 줄여왔다. 소나무재선충병이 급속히 확산한 2014년 이후 연간 2만2000㏊의 산림에 대해 실시하던 항공방제를 2022년에는 1000㏊ 규모로 줄였다.

소나무재선충병은 한 번 감염되면 소나무가 100% 고사하는 치명적인 산림 병해충이다. 1988년 부산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지금까지 전국 140개 시·군·구에서 발생했다.

약 100년 전부터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일본의 경우 사실상 방제를 포기한 상태다.

윤희일 선임기자 yhi@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