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법 바꿔라”...알려주는 신호 4

권순일 2023. 1. 30. 08: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운동을 열심히 해도 그 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는 운동 방법을 바꿔줄 필요가 있다.

뱃살이 잘 빠지지 않거나 체중에 변화가 없을 때에는 좀 더 강도 높은 운동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지만 몸이 보내는 다른 신호를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

미국 건강·의료 매체 '프리벤션'이 어떤 조짐이 나타날 때 운동 방법을 바꿔야 하는지 소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너무 편안하거나, 짜증 자주 나기도
관절 통증은 운동 방법을 바꿔야 할 때 나타나는 신호 중 하나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운동을 열심히 해도 그 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는 운동 방법을 바꿔줄 필요가 있다. 자신의 운동 방법에 변화가 필요한 시점은 다른 사람이 결정해줄 수 없다. 자발적으로 운동 방법을 바꿔야 할 시기를 알아채야 한다.

뱃살이 잘 빠지지 않거나 체중에 변화가 없을 때에는 좀 더 강도 높은 운동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지만 몸이 보내는 다른 신호를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 미국 건강·의료 매체 '프리벤션'이 어떤 조짐이 나타날 때 운동 방법을 바꿔야 하는지 소개했다.

△관절이 아프다

준비운동과 스트레칭으로 몸을 예열하지 않고 곧바로 강도 높은 운동을 시작하면 관절을 다치기 쉽다. 고강도 운동에 익숙하다고 자신하더라도 마찬가지. 본격적인 운동에 앞서 5~10분간 가볍게 걷거나 스트레칭을 하고, 운동 후에도 많이 사용한 근육을 풀어줄 수 있는 스트레칭을 반복해야 한다. 또 한 가지 운동만 지속하기보다는 다양한 운동을 병행해 여러 근육과 관절을 골고루 사용해야 한다.

△운동이 너무 편안하다

거실이나 헬스클럽에서 TV를 보며 트레드밀 위를 걷거나 실내자전거를 타고 있지만 TV 버라이어티쇼에 몰입해 웃고 즐기고 있다면 운동다운 운동을 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운동하는 시늉만 내는 움직임은 시간 낭비일 뿐 아니라 원하는 결과도 얻을 수 없다.

운동을 할 때 몸이 힘들기는커녕 편안함을 느낀다면 보다 격렬한 운동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강도 높은 운동을 하는 일은 쉽지 않지만 지속적으로 하다보면 엔도르핀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돼 고통을 완화할 수 있다.

△자꾸 짜증이 난다

짜증이 자꾸 나서 가족들에게 화를 낸다거나 밤에 속이 뒤틀리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자신의 신체가 감당할 수 있는 강도보다 과도한 운동을 하고 있을 수 있다. 또 휴식을 취하고 있을 때도 심장박동 수(심박수)가 높게 나타난다면 역시 운동의 강도를 낮춰야 한다. 이러한 증상들은 격렬한 운동을 하고도 제대로 된 안정을 취하지 못할 때 나타난다.

△지루하다

운동 초보들의 상당수가 운동을 결심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쉽게 포기한다. 운동에 재미를 느끼지 못하고 지루하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운동을 시작했다면 아무 생각 없이 같은 동작을 반복하기보다는 근육의 움직임을 느끼면서 몸의 변화를 느껴야 운동에 대한 지속적인 의지가 생긴다. 또 만약 조깅을 하고 있다면 평소와 다른 루트로 달린다거나 혼자 운동을 많이 한다면 그룹 운동을 병행하면서 보다 즐겁게 운동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권순일 기자 (kstt77@kormedi.com)

Copyright © 코메디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