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역에선 벗어도 되고 지하철에선 써야 하고

김태원 2023. 1. 29. 22:2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내일부터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없어지는 가운데, 지하철이나 버스를 탈 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 헷갈리는 분들 있으실 겁니다.

쉽게 말해 지하철역에선 안 써도 되는데 지하철 안에선 써야 합니다.

바로 '탑승'이 기준이기 때문인데요.

대중교통 마스크 착용 기준, 김태원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지하철 출입구로 들어서는 사람들.

마스크는 한 몸처럼 느껴질 정도입니다.

출입구 밖에서 벗었던 사람도 마스크를 꺼내 다시 쓰고 계단으로 내려갑니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사라지면 이 또한 달라집니다.

출구를 지나 이렇게 역사 안으로 들어와도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됩니다.

실내 마스크 착용이 '의무'에서 '권고'로 완화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지하철을 탈 때는 마스크를 반드시 써야 합니다.

아직은 기준 자체가 와 닿지 않습니다.

[황상현 / 서울 신도림동 : 역사 내에선 벗어도 되고 지하철 타면 써야 한다는 거잖아요. 모르고 그냥 안 쓰고 들어가는 사람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게다가 지하철역 안이더라도 밀폐·밀집·밀접 이른바 '3밀 환경'이면 마스크 착용을 강력히 권고하는 것도 혼란스러운 부분입니다.

[장석주 / 서울 반포동 : 공간 안에 사람이 있느냐, 없느냐는 제 눈으로 판단하는 거기 때문에 눈으로 보는 데는 한계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이렇다 보니 차라리 계속 쓰고 다니는 게 낫겠다는 반응도 나옵니다.

[정수성 / 인천 송도동 : 아직 코로나가 완전히 끝났다고 생각은 안 들기 때문에 밖에서도 마스크를 쓸 거 같고, 안에서도 쓸 거 같다는 생각을 개인적으로 (갖고 있습니다.)]

지하철뿐만 아니라 버스, 택시, 기차, 항공기와 같은 다른 교통수단에서도 마스크 착용 기준은 '탑승'입니다.

다만 어르신, 어린 아이와 같은 고위험군은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와 상관없이 당분간 이전처럼 착용하길 권장합니다.

[정기석 /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 : (고위험군들은) 마스크 해제되는 거와 상관없이 그냥 평소 하시던 대로 착용을 하십시오. 과태료 부과는 없으니까 편하시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평소 하던 대로 당분간 한다….]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이후 어디서 마스크를 써야 하고 안 써도 되는지 당분간이더라도 혼란은 불가피해 보입니다.

YTN 김태원입니다.

YTN 김태원 (woni041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