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남으면 돈으로 받는다"…사전신청만 15만명 몰린 곳

조아라 2023. 1. 29. 16: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토스가 출시 예정인 알뜰폰 서비스 '토스모바일'의 사전 신청자가 15만명을 돌파했다.

29일 비바리퍼블리카의 알뜰폰 자회사 토스모바일은 이날 0시 기준 서비스 사전신청자가 15만명을 넘겼다고 밝혔다.

업계에 따르면 토스모바일은 데이터 7~100기가바이트(GB) 구간에 4종의 알뜰폰 요금제를 출시한다.

토스모바일은 요금제 출시를 예고하며 미사용 데이터는 최대 1만원 '캐시백'을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토스가 내놓는 알뜰폰 토스모바일
"토스 앱에서 잔여 데이터 확인 가능"…편의성 강조
알뜰폰 매장/ 사진=한경DB


토스가 출시 예정인 알뜰폰 서비스 '토스모바일'의 사전 신청자가 15만명을 돌파했다. 오는 30일 출시에 앞서 대규모 회원들을 모집하며 큰 인기를 끌고 있는 분위기다. 증권과 뱅크 등 다양한 온라인 금융 서비스를 영위하고 있는 '토스' 운영사가 알뜰폰 시장에 진출하면서 통신 업계는 새로운 혁신이 이뤄질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토스모바일 요금제 써볼까"…순식간에 15만명 돌파

29일 비바리퍼블리카의 알뜰폰 자회사 토스모바일은 이날 0시 기준 서비스 사전신청자가 15만명을 넘겼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기존 이동통신사업자(MNO) 가입자는 약 73%에 달했다. 연령별로 20대가 전체의 약 40%로 가장 많았다. 이어 30대(28%)와 40대(21%)가 그 뒤를 따랐다.

업계에 따르면 토스모바일은 데이터 7~100기가바이트(GB) 구간에 4종의 알뜰폰 요금제를 출시한다. 구체적 요금 구성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월 2만4800원에 데이터 7GB, 월 3만5800원에 15GB, 월 5만4800원에 71GB, 월 5만9800원에 100GB인 것으로 전해진다.

토스모바일 사전신청 시작. 그래픽=토스 제공


알뜰폰과 기존 이통사에서 찾아보기 힘든 50GB 이상의 71GB 요금제가 눈에 띈다. 그간 정부와 소비자들이 지속적으로 요구하던 '중간' 수준의 요금제기 때문이다. 앞서 이통 3사는 5G 서비스에서 데이터 24~31GB 구간의 중간요금제를 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정부는 소비자들의 선택 폭을 넓히자는 취지에서 40~100GB 구간에 대한 요금제 추가 출시를 유도하고 있다.

토스모바일은 요금제 출시를 예고하며 미사용 데이터는 최대 1만원 '캐시백'을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기존 통신3사 데이터 및 통화 무제한 요금제 사용 가입자가 토스모바일 요금제로 변경하면 약 20% 이상의 통신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그간 알뜰폰 단점으로 지적됐던 고객센터도 강화한다. 토스모바일은 24시간 고객센터 운영으로 최대한 불편 사항을 해결한다는 방침이다.

"토스 앱에서 잔여 데이터 확인 가능"…편의성 강조

토스모바일은 토스 앱에서도 쉽고 빠르게 개통할 수 있도록 절차를 간소화했다. 별도의 앱 다운로드 없이 기존 토스 앱에서 잔여 데이터 확인 등도 손쉽게 할 수 있다. 

온라인 금융서비스 '토스' 운영사가 알뜰폰 시장에 진출하면서 통신 업계에 새로운 혁신이 이뤄질지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토스가 증권, 뱅크 등 여러 서비스를 영위하고 있어 다양한 결합 서비스 출시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토스모바일은 신규 요금제 출시와 함께 토스페이 결제시 10% 캐시백 혜택을 내걸었다.

편의성 등을 강조해 이통사 가입자들을 집중적으로 공략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승훈 토스모바일 대표는 "토스가 금융 플랫폼으로 간편 송금, 주식거래, 인터넷뱅킹 등 다양한 금융서비스에서 혁신을 이뤄온 것처럼 통신 서비스 영역에서도 소비자들이 불편함을 느꼈던 부분을 개선해 나가겠다"며 "편리하고 직관적인 통신 서비스를 기반으로, 다양한 혜택을 더해 새로운 통신의 기준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