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FBI, 랜섬웨어 갱단 '하이브' 해킹해 사이트 압수

황정빈 기자 2023. 1. 29. 13:0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연방수사국(FBI)이 랜섬웨어 갱단 '하이브(Hive)'의 시스템을 해킹해 해당 사이트를 압수했다.

미국 법무부(DOJ)는 26일 하이브 랜섬웨어 그룹을 해체했다고 밝혔다.

하이브는 시스템을 잠그거나 데이터를 암호화해 사용할 수 없도록 만든 뒤, 이를 인질로 피해자에게 돈을 요구하는 랜섬웨어 갱단이다.

하이브 랜섬웨어 공격을 받은 한 병원은 환자들을 아날로그 방식으로 치료해야 했으며, 새로운 환자를 받을 수 없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하이브 컴퓨터 네트워크 침입…'암호 해독키' 빼내 피해자에게 배포

(지디넷코리아=황정빈 기자)미국 연방수사국(FBI)이 랜섬웨어 갱단 '하이브(Hive)'의 시스템을 해킹해 해당 사이트를 압수했다.

미국 법무부(DOJ)는 26일 하이브 랜섬웨어 그룹을 해체했다고 밝혔다. 메릭 갈랜드 미국 법무부 장관은 "미국과 전 세계 피해자들로부터 수억 달러를 갈취하거나 갈취하려고 시도한 국제 랜섬웨어 집단을 해체했다"며 "사이버 범죄는 끊임없이 진화하는 위협이다. 우리는 이러한 공격을 방지하고 표적이 된 피해자를 지원하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며, 국제 파트너들과 함께 이러한 공격을 전개하는 범죄 집단을 계속 방해할 것"이라고 말했다.

랜섬웨어는 '몸값(Ransom)'과 '소프트웨어'의 합성어다. 하이브는 시스템을 잠그거나 데이터를 암호화해 사용할 수 없도록 만든 뒤, 이를 인질로 피해자에게 돈을 요구하는 랜섬웨어 갱단이다.

FBI는 지난해 7월 말부터 하이브의 컴퓨터 네트워크에 침입해, 그들의 암호 해독키를 빼내고 이를 전 세계 피해자에게 제공해 피해자가 요구받은 몸값인 1억3천만 달러를 지불하지 않게끔 했다고 밝혔다. FBI는 공격을 받은 하이브 피해자에게 300개 이상의 암호 해독 키를 제공했다. 또한 FBI는 그 이전에 하이브에게 공격당한 피해자에게도 1천개 이상의 추가 암호 해독키를 배포했다.

케네스 폴라이트 미국 법무부 형사과 차관보는 "이 사건에서 우리의 노력으로 피해자는 몸값으로 요구받은 1억 달러 이상을 절약했으며, 복원 비용도 절약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하이브 갱단은 2021년 6월부터 전 세계 1천500명 이상의 피해자를 표적으로 삼고, 몸값으로 1억 달러 이상을 갈취했다. 하이브 랜섬웨어 공격을 받은 한 병원은 환자들을 아날로그 방식으로 치료해야 했으며, 새로운 환자를 받을 수 없었다.

하이브는 피해자에게 암호 해독 키에 대한 대가로 몸값을 요구했을 뿐 아니라, 피해자가 몸값을 지불하지 않으면 갈취한 데이터를 공개적으로 게시하겠다고 위협했다.

인텔471의 보안 연구원에 따르면, 하이브는 2022년 3분기에 보고된 랜섬웨어 공격의 약 9%를 차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황정빈 기자(jungvinh@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