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놀면 뭐하니’ 박진주, 울산 쫀드기 극찬 “목포 쫀드기보다 맛있어”

유은영 스타투데이 기자(yoo@naver.com) 2023. 1. 28. 19: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놀면 뭐하니' 멤버들이 전국 간식 지도 만들기에 나섰다.

28일 방송된 MBC '놀면 뭐하니?'에서 신봉선과 이이경은 전국 간식 지도를 완성하기 위해 전주로 향했다.

하하는 박진주에게 "목포 쫀드기랑 울산 쫀드기 중에 뭐가 더 맛있냐"고 물었다.

박진주는 1초의 고민도 없이 울산 쫀드기를 선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 l MBC 방송화면 캡처
‘놀면 뭐하니’ 멤버들이 전국 간식 지도 만들기에 나섰다.

28일 방송된 MBC ‘놀면 뭐하니?’에서 신봉선과 이이경은 전국 간식 지도를 완성하기 위해 전주로 향했다. 두 사람은 ‘놀면 뭐하니’ 멤버들 사이에서도 위가 크기로 유명했는데, 이에 팀명으로 ‘위대한 남매’를 선택했다.

두 사람은 가장 먼저 한옥마을로 향해 전주 비빔밥 크로켓을 맛봤다. 바삭한 튀김옷과 촉촉한 비빔밥의 만남이 환상적으로, 두 사람은 연신 감탄하며 맛봤다.

두 사람은 이어 벽화마을로 이동했다. 벽화마을에 자리한 한 가게에서는 비빔밥 와플을 판매 중이었는데, 빵 대신 밥을 와플처럼 구운 뒤 속재료를 김밥처럼 돌돌 말아 완성한 것이 특징이었다.

이이경은 비빔밥 와플의 비주얼을 보고 “크기가 준하 형 주먹만 하다”고 말해 웃음을 안겼다. 이어 비장하게 한입을 먹은 이이경은 “너무 맛있다”고 감탄했다. 그러면서 “삼두 쪽에 소름 올라왔다”고 덧붙였다.

유재석, 정준하, 이미주는 대구의 간식 탐방에 나섰다. 앞서 세 사람은 찹쌀도넛 콩국을 먹으며 그 맛에 감탄한 바 있다. 세 사람은 시장으로 향했다. 세 사람의 등장에 시장 상인들은 술렁였고, 특히 그 중에서도 유재석을 향한 관심이 집중된다. 유재석은 반겨주는 상인들을 향해 인사를 하는가 하면, 악수를 하는 등의 모습을 보였다. 이에 정준하는 “재석이 선거 유세하러 온 것 같다”고 말해 웃음을 안겼다.

세 사람이 시장에서 맛볼 간식은 김밥 튀김이었다. 김밥 튀김 뿐만 아니라 납작만두와 군만두, 떡볶이까지 1인분씩 주문해 함께 맛보기로 했다. 유재석은 김밥 튀김의 맛에 완전히 반한 듯, 토크 본능도 잊은 채 김밥 튀김을 먹는 것에 집중했다. 특히 유재석은 “제보를 해주셨잖나. 진짜 감사드린다”고 시청자들에게 인사하기도 했다.

사진 l MBC 방송화면 캡처
하하와 박진주는 울산으로 향했다. 하하는 울산에서 개최하는 고래 축제에 거의 매년 왔다고 밝혀 눈길을 끌었다. 하하는 “무대 위에서는 또 다른 사람이 된다”며 “되게 섹시해. 근데 귀여워”라고 말해 웃음을 안겼다.

두 사람이 먼저 향한 곳은 한 분식집. 이곳에서 울산 쫀드기와 딱딱이, 그리고 디스코 어묵까지 한 번에 맛볼 수 있었다. 울산 쫀드기는 목포 쫀드기와 달리 젤리 같은 식감을 지녔다. 하하는 박진주에게 “목포 쫀드기랑 울산 쫀드기 중에 뭐가 더 맛있냐”고 물었다. 박진주는 1초의 고민도 없이 울산 쫀드기를 선택했다.

다음을 맛본 간식은 물라면. 하하와 박진주는 초등학교로 향해 아이들에게 물라면에 대해 물어봤는데, 모든 학생들이 알 정도로 유명했다. 이어 맛본 물라면은 끓여먹는 라면과 또 다른 매력으로 두 사람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이외에도 신봉선과 이이경은 염통꼬치를, 유재석과 정준하, 이미주는 콩나물 어묵을 맛보러 갔다. 매콤한 맛의 콩나물 어묵을 맛보던 유재석과 이미주는 또 다른 만두의 등장에 당황하기도 했다. 하지만 곧 만두를 맛보며 그 맛에 감탄했다.

[유은영 스타투데이 객원기자]

Copyright © 스타투데이.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