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차트] 복지도 급여도 아니다…이직·퇴사 요인 1위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잘 만든 차트 하나는 열 기사보다 낫습니다.
재택근무 제도와 같은 기업의 '근무 환경 및 기업문화'가 이직과 퇴사를 결정짓는 요인 중 1위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18일 국내 커뮤니케이션 회사 KPR 인사이트 트리는 이직과 퇴사에 관한 약 19만건의 온라인 언급량을 분석, 이직·퇴사 결정에 영향을 준 요인 중 '근무 환경과 기업문화'가 전체의 37%를 차지해 1위였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편집자주] 잘 만든 차트 하나는 열 기사보다 낫습니다. 알차고 유익한 차트 뉴스, [더차트]입니다.
재택근무 제도와 같은 기업의 '근무 환경 및 기업문화'가 이직과 퇴사를 결정짓는 요인 중 1위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18일 국내 커뮤니케이션 회사 KPR 인사이트 트리는 이직과 퇴사에 관한 약 19만건의 온라인 언급량을 분석, 이직·퇴사 결정에 영향을 준 요인 중 '근무 환경과 기업문화'가 전체의 37%를 차지해 1위였다고 밝혔다.
2위는 복리후생(24%)이었고, 직무적합도 및 성장 가능성(23%), 급여(16%) 순으로 집계됐다. 1위인 근무 환경과 기업문화에 대한 관심은 2020년 조사 대비 6%포인트(p) 증가했다.
반면 연봉에 대한 관심은 오히려 같은 기간 2%p 감소했다. '복리후생'도 같은 기간 5%p 줄었다. 코로나19 팬데믹 전과 비교할 때 복리후생이나 연봉을 이유로 이직·퇴사하는 경우는 줄어든 반면, 근무환경 및 기업문화 때문에 옮긴다는 생각은 늘어난 걸로 해석된다.
KPR인사이트 트리는 "팬데믹 이후 재택근무가 활성화하면서 업무 시간과 공간의 개념이 유연해졌다"며 "근무 환경 전반을 관리하는 기업문화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 같은 경향이 MZ세대인 2030 직장인일수록 강하다고 분석했다.
양윤우 기자 moneysheep@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 '음주운전' 곽도원, 한국 떠났다?…"동남아 체류 중, 표정 밝아" - 머니투데이
- "김종국, 이미 장가갔다…아내 미국에 있어" 절친 차태현 폭로 - 머니투데이
- '더 글로리' 송혜교, 회당 출연료 2억 '女배우 TOP'…10억 받는 男배우는? - 머니투데이
- '도박→이혼위기 극복' 김승현 부모, 며느리 항의받은 사연은 - 머니투데이
- 임백천 "아내 ♥김연주와 8살 차…母마저 며느리가 아깝다고" - 머니투데이
- '득남' 장미인애, 4월 연상 사업가와 결혼식…장소는 신라호텔
- '여자 백종원' 이여영 "전 남편이 폭행" 폭로 뒤…"불면" 심경 고백
- 월 교육비 800만원인데…최민환♥율희 子, 유치원 안 간 이유는
- "입석 돈 냈거든요?" KTX 객실복도에 떡하니 앉은 '민폐 커플'
- '박수홍 ♥' 김다예, 법무법인 팀장 됐다…"명함 600장 나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