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층 ‘임플란트’, 시술 전 이것 체크해야

강석봉 기자 2023. 1. 28. 00:4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설 연휴기간은 자주 찾아 뵙지 못하는 부모님의 건강을 체크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걸음걸이는 문제가 없는지 듣고 말하는 것에는 문제가 없는지 또는 불면증이나 우울증은 없는지 등 다양하다. 그중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치아건강을 체크하는 것이다.

치아는 나이가 들면 자연스럽게 약해진다. 특히 노화로 인해 잇몸이 약해지면서 이가 흔들리거나 빠지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많은 노년층들이 나이를 먹어 그러려니 하고 그냥 방치하거나 자식들이 부담을 갖을까 통증이 심해도 참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하지만 치아를 상실할 경우 음식을 제대로 씹지 못해 소화 장애를 유발하고 영양 불균형으로 인해 여러 가지 이차적인 질환에 노출되기 쉬워진다. 실제 치아 건강이 당뇨, 심혈관질환 심지어 치매 발병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들도 있어 치아상실의 심각성은 더하다.

다행히 의료기술 발달과 함께 치아기능 회복을 위한 다양한 치료법들이 등장하면서 도움을 주고 있다. 그중 ‘임플란트’ 시술이 대표적이다. 임플란트는 인공치아를 심어 기존 치아의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방법이다. 틀니보다 씹는 힘이 좋고, 외관상 보기 좋다는 장점이 있다.

고르다치과의원 고상훈 대표원장 “생활수준 향상과 고령화 등으로 임플란트 시술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지만 모든 사람에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며 “그중 고령층이거나 고혈압이나 당뇨 등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에는 수술 과정에서 위험부담이 클 수 있는 만큼 정밀한 치과 진단과 함께 재료, 사후관리 등 다양한 사항을 체크해 보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먼저 고령층의 경우 잇몸뼈의 양을 명확하게 체크해야 한다. 임플란트는 잇몸뼈에 치아의 뿌리 역할을 하는 픽스쳐 식립하는 과정으로 이뤄진다. 이때 잇몸뼈의 양이 충분하게 확보돼야 튼튼한 식립 결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만약 잇몸뼈의 양이 부족하다면 별도의 이식술을 시행해야 한다.

다음은 임플란트 수술에 사용되는 재료에 대한 부분을 확인해야 한다. 다양한 임플란트 재료들이 존재하는 만큼 자연치아와 흡사한 심미성을 갖추고 있는지, 강한 충격에도 쉽게 부러지지 않는 내구성을 갖추고 있는지 등 검증된 재료를 사용하는지 여부도 체크해보아야 한다.

아울러 수요 증가에 따른 부작용 사례 또한 증가하고 있는 만큼 시술자의 노하우, 시술경력 그리고 치료 계획, 사후관리, 골 융합에 대한 부분 등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강석봉 기자 ksb@kyunghyang.com

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